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24년 농촌진흥청 선정 신규품종의 주요 특성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24년 농촌진흥청 선정 신규품종의 주요 특성 2 дня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24년 농촌진흥청 선정 신규품종의 주요 특성

농촌진흥청에서는 24년 신규 벼 장려품종을 선정하였습니다 모두 10품종이 선정되었는데 용도별 구분에서는 밥쌀용 8품종 중에서 일반밥쌀 6품종, 반찰용(중간찰) 2품종이며 총체용 1품종과 해외적응 1품종입니다 해강 품종은 밥쌀용으로 수원 652호로 출수기는 8월 13일인 중생종이며 내수발아성과 내도복성으로 복합내병충성이며 벼멸구저항성 품종입니다. 쌀수량은 542kg/10a입니다. 달맑은 품종은 밥쌀용으로 수원 658호로 출수기는 7월 27일인 조생종이며 내수발아성과 내도복성으로 도열병은 중이며 흰잎마름병과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한 특성을 가졌습니다. 충남 아산지역 특화 품종으로 쌀수량은 조기재배시 519kg/10a 이며 보통기 재배시 515kg/10a입니다. 수광1호는 밥쌀용으로 전주 662호로 출수기가 8월 12일인 중만생종 품종으로 초형 및 숙색이 양호하며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한 특성을 지녔습니다. 특히 수광벼의 단점인 흰잎마름병 k3a에 대한 저항성과 탈립이 잘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품종입니다. 쌀수량은 566kg/10a입니다. 삼광2호는 밥쌀용으로 전주 667호로 출수기는 8월 12일인 중만생 품종으로 밥맛이 양호하며 흰잎마름병과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한 특성을 지녔습니다. 특히 삼광벼의 단점인 도복을 개선하였습니다. 단점으로는 수발아와 내냉성에 약하며 키다리병 방제를 철저히 하여야 합니다. 쌀수량은 569kg/10a입니다 경원 품종은 밥쌀용으로 경남 4호로 경남 농업기술원에서 개발한 품종으로 출수기는 조기재배시 7월 14일, 만기재배시 8월 23일입니다. 조기재배뿐만 아니라 경남지역에 원예작물 후작용으로 내만식성을 지녔고 도열병, 흰잎마름병,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합니다 쌀수량은 조기재배시 551kg/10a, 만기재배시 517kg/10a입니다. 연진 품종은 밥쌀용으로 경기 15호로 경기도 농업기술원에서 개발한 품종으로 출수기는 8월 7일인 중생종으로 고품질, 밥맛 우수 및 수발아율이 3% 미만으로 낮고 경기 연천지역에 특화된 품종입니다. 쌀수량은 503kg/10a입니다. 황금예찬 품종은 밥쌀용으로 반찰(중간찰) 품종이며 밀양 387호로 출수기는 8월 15일로 중만생종 품종입니다. 저아밀로스이며 중대립이며 도복에 강한 특징을 지녔습니다. 쌀수량은 569kg/10a입니다. 해찰미 품종은 밥쌀용으로 반찰(중간찰) 품종이며 밀양 401호로 출수기는 8월 19일로 중만생종 품종입니다. 저아밀로스이며 중대립이며 흰잎마름병 k3a에 강한 특징을 지녔습니다. 쌀수량은 570kg/10a입니다. 강다참 품종은 총체용으로 수원 655호로 출수기는 8월 16일로 중만생종 품종입니다. 내수발아성 및 염농도에 강하며 내도복성이며 사료가치 및 총체 수량성이 우수하며 흰잎마름병 k3a와 벼멸구, 애멸구 저항성 뿐만 아니라 줄무늬잎마름병에도 강한 특징을 지녔습니다. 총채벼수량은1,923kg/10a입니다. 아세미6 품종은 해외적응 품종으로 자포니카6 품종이며 출수기는 8월 9일인 중생종이며 해외 열대지역(필리핀 등)에 적응하는 자포니카 품종입니다.국내는 품종출원만하고 국가목록등재는 안하는 품종입니다. 쌀수량은 563kg/10a입니다. 24년 새로 육성된 신규품종의 주요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농가에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