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병든 세포 만나면 '반짝'…새 MRI 조영제 개발 / YTN 사이언스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병든 세포 만나면 '반짝'…새 MRI 조영제 개발 / YTN 사이언스 8 лет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병든 세포 만나면 '반짝'…새 MRI 조영제 개발 / YTN 사이언스

[앵커] 국내 연구진이 병든 세포를 찾으면 마치 램프의 스위치가 켜지듯 밝아지는 새로운 MRI 조영제를 개발했습니다. 주변 조직보다 10배까지 뚜렷하게 볼 수 있어 조직 검사 없이도 정확한 판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동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MRI와 같은 방사선 검사는 조영제를 이용해 몸 안의 조직이나 혈관을 자세히 관찰합니다. 관찰 결과 병든 세포가 나타나면 정확한 판독을 위해 조직검사 절차를 다시 거치게 됩니다.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새로운 조영제는 MRI 검사만으로도 정밀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특정 세포를 찾아내면 마치 램프의 스위치가 켜지듯 조영제의 불이 들어오는 것입니다. 연구팀은 기존 조영제에 쓰이는 자성 물질에 또 다른 자성 나노입자를 덧붙인 구조체를 만들었습니다. 여기에 특정 생체 인자를 인식하는 물질로 두 자성체를 연결했습니다. 두 자성체가 가까이 있을 때는 간섭 효과가 일어나 조영제가 반응하지 않지만, 생체 인자 인식 물질이 특정 세포를 찾아 반응하게 되면 둘 사이가 멀어지면서 MRI 신호가 켜지는 것입니다. 실제로 쥐에게 이 MRI 조영제를 주입했더니 암세포가 있는 곳에만 불이 들어와 주변 조직보다 10배 더 밝게 볼 수 있었습니다. 또 세포의 농도가 높을수록 빛이 밝아져 조직검사 없이도 정확한 판독이 가능합니다. [천진우 /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의학연구단장 : 마치 램프를 대낮에 켜면 신호가 약하지만, 밤에 램프를 켜면 환하게 보이는 원리입니다. 그래서 어떤 특정 질병을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성 물질을 연결하는 생체 인자 인식 물질을 바꿔주면 유전자나 단백질은 물론 중금속과 같은 화학물질까지 찾아낼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이런 원리를 이용하면 우리 몸의 생체활동을 분자 단위까지 MRI 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YTN science 이동은[[email protected]]입니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www.ytnscience.co.kr/program/p...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