Из-за периодической блокировки нашего сайта РКН сервисами, просим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езервным адресом: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dTub.ru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ycliper.com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ClipSaver.ru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양재교회 신앙도서강독]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4), 47-55p, 20250701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скачивания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Роботам не доступно скачивание файлов. Если вы считаете что это ошибочное сообщение - попробуйте зайти на сайт через браузер google chrome или mozilla firefox. Если сообщение не исчезает - напишите о проблеме в обратную связь. Спасибо.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양재교회 신앙도서강독, 남상수 목사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4], 47p부터 번역: 김종흡 출판: 크리스챤다이제스트 『삼위일체론』 텍스트 링크 https://os5.mycloud.com/action/share/... 강독 내용 요약 1. 정관(Contemplatio)이란 무엇인가 ▪ 정관은 라틴어 contemplatio, 영어 contemplation에 해당하며, “응시, 직관, 관조”를 의미. ▪ 단순히 시각적으로 본다는 차원을 넘어, 믿음의 완성으로서 하나님을 직접적으로 바라보는 영적 상태를 말함. ▪ 아우구스티누스는 이것을 삼위일체 하나님의 본질과 위격을 인식하는 최종 목적으로 설명함. 2. 정관과 믿음의 관계 ▪ 정관은 믿음의 상(reward)이다. ▪ 지금은 "믿음으로" 하나님을 바라보지만, 장차는 "얼굴과 얼굴을 마주 대하여" 보게 될 것이다(요일 3:2; 고전 13:12). ▪ 믿음이 정결한 마음을 낳고, 정결한 마음이 하나님을 볼 수 있게 한다.(마 5:8) “마음이 청결한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하나님을 볼 것임이요.” 3. 정관의 대상: 삼위일체 하나님 ▪ 아우구스티누스는 정관의 대상이 삼위일체 하나님이라고 분명히 밝힘. ▪ 성부, 성자, 성령은 한 본질(homoousios)이시며, 위격 간에는 구별이 있으나 분리가 없음. ▪ 따라서 성자를 보면 성부도 보며, 성령도 동일 본질로서 거기 계심. ▪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우리는 성부의 영광을 보게 됨 (요 14:9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느니라”). 4. 그리스도와 정관 ▪ 그리스도는 중보자로서 우리를 하나님께로 인도하시며, 최종적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보게 하시는 분이심. ▪ 그리스도의 인성으로는 하나님의 신성을 감추고 있으나, 믿음을 통해 그리스도의 신적 본질을 인식하게 됨. ▪ 최종 상태에서는 그리스도의 영광을 통해 하나님 아버지의 영광을 보게 됨. 5. 천국의 상태로서의 정관 ▪ 정관은 믿음의 여정의 완성이며, 영원한 안식과 기쁨을 누리는 상태. ▪ 천사들도 하나님을 배웁고 있고(마 18:10), 우리도 그들과 같이 하나님을 보며 즐거워할 것. ▪ 아우구스티누스는 천국의 복됨은 바로 하나님을 보는 것에 있다고 강조함. 6. 정관의 예: 마르다와 마리아 ▪ 마리아는 주님의 말씀을 듣고 그를 바라봄으로써, 지상에서의 정관적 삶을 보여줌. ▪ 아우구스티누스는 마리아를 내세의 정관 상태를 미리 보여주는 자로 해석. 7. 신자의 최종 상태 ▪ 예수 그리스도는 신자들을 인도하여 아버지께로 나아가게 하며, 그때 신자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영광을 보게 됨. ▪ 이 정관은 성령을 통한 믿음의 충만 안에서 가능하며, 성령이 거하심으로 성부와 성자도 함께 계심(요 14:23). 8. 결론: 정관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한 본질을 보는 것 ▪ 정관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한 본질(homoousios) 안에서, 위격의 구별을 지닌 상태 그대로 전 존재적으로 응시하는 상태. ▪ 이는 믿음의 열매이자 완성, 천국에서의 최고 복, 신자 존재의 목표이며, 아우구스티누스는 이를 통해 삼위일체론의 실체성과 통일성을 드러냄. 대한예수교장로회 양재교회 http://www.yangjae.chu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