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부동산 이중매매와 배임죄, 그리고 법률관계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부동산 이중매매와 배임죄, 그리고 법률관계 2 года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부동산 이중매매와 배임죄, 그리고 법률관계

https://linkon.id/law8195 ▶ 법률상담 예약안내(유료, 예약방문제) 전화) T. 02-595-8195| P. 010-8677-8195 이메일) [email protected] 주소) 서울 서초구 법원로15 정곡빌딩 서관408호 블로그) https://blog.naver.com/kkanggyun 부동산 이중매매와 배임죄, 그리고 법률관계 부동산 매도인이 제1 매수인에게 소유권을 이전등기 해주지 않고, 제2 매수인에게 다시 부동산을 매도하는 경우를 부동산 이중매매라고 합니다. 이러한 배신적 행위에 대해 형사처벌이 가능할까요? 제355조(횡령, 배임) ①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그 재물을 횡령하거나 그 반환을 거부한 때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②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그 임무에 위배하는 행위로써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거나 제삼자로 하여금 이를 취득하게 하여 본인에게 손해를 가한 때에도 전항의 형과 같다. 제359조(미수범) 제355조 내지 제357조의 미수범은 처벌한다. 배임죄의 주체는? 부동산 매도인이 부동산을 이중으로 매도하더라도 그 전부가 형사처벌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주로 배임죄 성립여부가 다투어지게 됩니다. 대법원 판례는, 부동산 매매계약에서 계약금만 지급된 단계에서는 어느 당사자나 계약금을 포기하거나 그 배액을 상환함으로써 자유롭게 계약의 구속력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중도금이 지급되는 등 계약이 본격적으로 이행되는 단계에 이른 때에는 계약이 취소되거나 해제되지 않는 한 매도인은 매수인에게 부동산의 소유권을 이전해 줄 의무에서 벗어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단계에 이른 때에 매도인은 매수인에 대하여 매수인의 재산보전에 협력하여 재산적 이익을 보호·관리할 신임관계에 있게 된다. 그때부터 매도인은 배임죄에서 말하는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한 지위에 있는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계약 내용에 따라 부동산의 소유권을 이전해 주기 전에 그 부동산을 제3자에게 처분하고 제3자 앞으로 그 처분에 따른 등기를 마쳐 준 행위는 매수인의 부동산 취득 또는 보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행위이다. 이는 매수인과의 신임관계를 저버리는 행위로서 배임죄가 성립한다. 고 판시하고 있습니다. 즉 부동산 매도인이 배임죄의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매수인으로부터 중도금을 지급받아야 하는 것입니다. 계약금만 지급받은 상황에서는 이중매매를 하더라도 배임죄의 주체가 아니므로 배임죄가 성립하지 않습니다. 언제 배임죄의 실행 착수가 있게 되나? 배임죄는 미수범도 처벌하고 있기 때문에 배임죄의 실행착수가 인정되면 배임죄 미수범으로 처벌이 가능합니다. 그럼 언제 배임죄의 실행착수가 인정될까요? 매매계약 체결시, 계약금 수령시, 중도금 수령시, 잔금 수령시 등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대법원은, 부동산의 이중양도에 있어서 매도인이 제2차 매수인으로부터 계약금만을 지급받고 중도금을 수령한 바 없다면 배임죄의 실행의 착수가 있었다고 볼 수 없다. 고 판시한바 있습니다(대법원 2002도7134). 언제 배임죄의 기수범이 되나? 부동산 이중매매에서 매도인이 제2매수인에게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해준때 배임죄의 기수가 됩니다(83도1946) 제1매수인은 어떻게 보호받을 수 있을까? 만약 제2매수인이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하여 소유권을 취득하게 된다면, 제1매수인은 매우 당황스러울 것입니다. 물론 중도금을 지급한 경우라면 매도인을 배임죄로 고소하여 형사처벌을 받도록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제적 손해는 복구하기 쉽지 않습니다. 제1매수인은 현실적으로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런 경우를 제1매매계약이 불능이 되었다고 합니다. 계약이 불능이 되었으므로 제1매수인은 매도인을 상대로 계약해제, 매매대금 반환을 구하거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제1매수인이 소유권을 취득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아주 예외적인 상황이라면 가능합니다. 대법원은, 부동산의 이중매매가 반사회적 법률행위로서 무효가 되기 위하여는 매도인의 배임행위와 매수인이 매도인의 배임행위에 적극 가담한 행위로 이루어진 매매로서, 그 적극가담하는 행위는 매수인이 다른 사람에게 매매목적물이 매도된 것을 안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적어도 그 매도사실을 알고도 매도를 요청하여 매매계약에 이르는 정도가 되어야 한다.고 판시한바 있습니다(93다55289). 즉 제2매수인이 적극적으로 매도인에게 매도를 요청하여 제2매매계약이 이루어진 경우라면 그 제2매매계약은 무효가 될 수 있고, 제2매수인의 이전등기도 무효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런 특별한 사정이 있다면 제1매수인이 제2매수인의 등기를 말소하고, 매도인으로부터 이전등기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