Из-за периодической блокировки нашего сайта РКН сервисами, просим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езервным адресом: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dTub.ru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ClipSaver.ru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케이블트레이용 본딩점퍼(Bonding Jumper, 接着 jumper)_접지점퍼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скачивания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Роботам не доступно скачивание файлов. Если вы считаете что это ошибочное сообщение - попробуйте зайти на сайт через браузер google chrome или mozilla firefox. Если сообщение не исчезает - напишите о проблеме в обратную связь. Спасибо.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본딩점퍼 #접지점퍼 #엔이텍 ◆ 케이블트레이용 본딩점퍼(Bonding Jumper, 接着 jumper) 케이블 트레이는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도체인 철로 만들어 졌으며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어 전기적 연결을 위해 케이블트레이를 등전위본딩 한다. ※ KEC 232.41 케이블트레이공사 전기설비검사 ·점검기준 380.1 케이블트레이시스템 금속제 케이블트레이시스템은 기계적·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여야 하며 접지공사를 할 것 현장에서 케이블 트레이 설치시에는 홀드 다운 크램프, 근각볼트, 너트, 박스콘넥터 등의 부속품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고 본딩 점퍼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결합시킨다. 철 구조물은 볼트 조임만으로는 전기적으로 완전히 접속된 것으로 볼 수 없으므로, 확실한 방법으로 전기적으로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접지한다. 등전위본딩(Equipotential Bonding)이란 등전위를 형성하기 위해 도전부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관련근거 KEC 143.2.1 143.3.1) 같은 전기적 위치에너지를 갖게 하기 위해 연결한다는 뜻.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를 이용해서 연결해야 전기적 위치에너지가 같아지게 된다. 이때 본딩점퍼(접지점퍼)를 통해 연결하며 케이블 트레이에서 접지선을 연결하고 대지로 전류가 흐르게 하는 것을 본딩 점퍼라고 한다. ※ 전기기기의 접지 (1) 전기기기와 연결되는 철제 구조물, 전선과 케이블 트레이 및 닥트 등은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한다. 한국전기설비규정(KEC 140 접지시스템) 접지(Grounding/ Earthing) : 도체와 대지를 등전위화하기 위해 임피던스가 낮은 물질로 연결. 위험 전류를 제거하기 위함. 본딩(Bonding) : 도체와 도체를 등전위화하기 위해 임피던스가 낮은 물질로 연결. 사람이나 동물의 감전을 예방하기 위함. ※ 임피던스 : 전압을 인가했을 때 전류가 흐르는 것에 반항하는 정도 저항은 DC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임피던스는 AC 전압이 인가되었을 경우에 지칭 ※ 점퍼(jumper) : 회로의 두 점 또는 단자 간을 접속하기 위한 길이가 짧은 도선 접착에 사용되는 편조선이나 금속 띠 단위체와 충분한 전기적 접촉을 갖지 못하는 구조체 사이에 필요한 도전율을 제공하는 편조선 또는 금속 띠 접지점퍼(Grounding Jumper), 편조선(braided wire, 編組線), 동편조선(Copper Braided Wire, 銅編組線) : 소선(素線)을 한 가닥 또는 여러 가닥 모으거나 또는 꼰 것을 대편(袋編)으로 한 것. 원형 및 평형 두 종류가 있다. 본딩점퍼는 필요한 전기전도성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신뢰할만한 전도체 ※ 편조선(Flexible Copper Braid)은 보통 접지를 할 때 많이 사용하며 끝 부분은 압착단자를 사용. 전선 등이 외부 노이즈를 탈 때, 전선을 편조선 안으로 넣어 노이즈 차단용으로도 사용. ◎ 재질 : 구리, 동(銅) (높은 전기전도율) _ 주석도금 편조선 구리는 원래 적갈색이나 주석도금이 되어 은색을 띠며 녹이나 부식 방지. 편조선 양끝에 구리단자(Terminal Lug)가 결합된 형태 움직임이 많고 굴곡이 심하거나 진동이 심한 장소에 사용. ※ terminal lug : 전선 끝에 납땜, 기타의 방법으로 붙이는 쇠붙이 주로 굵은 전선과 기계 기구의 단자의 접속을 완전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ex. 동판터미널 ◎ 규격 : 14SQ Jumper (250L) 600ea/box 22SQ Jumper (250L) 500ea/box 38SQ Jumper (250L) 400ea/box 두께와 폭은 피치와 함께 변경할 수 있음. (6~90SQ, 200~900mm 까지 주문제작 가능_엔이텍 홈페이지) 현장에서 14SQ는 통신용 케이블 트레이에, 22SQ 및 38SQ는 전기용 케이블 트레이 본딩에 사용하고 있으나 명확한 사용 기준 근거는 확인이 필요함. ◎ 용도 : 케이블 트레이 등전위본딩(Equipotential Bonding) 접촉할 수 있는 노출도전부 상호간 및 계통외도전부 사이를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위험한 접촉전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위를 같게 하는 것. 즉, 등전위화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등전위본딩에 관한 기술지침 KECG 9103-2020 대한전기협회 기타 배관 플랜지, 철도, 선박, 자동차 등의 접지에도 사용. ◎ 트레이와 트레이 연결시 조인트 콘넥터 좌우측 바깥에 연결하여 접지선 역할을 하며 shank bolt와 flange nut로 고정 ◎ 제조과정 (엔이텍 제조_https://www.netrolli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