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가톨릭중앙의료원 건강매거진]삼킴곤란(연하곤란)의 원인과 증상 및 예방법은?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가톨릭중앙의료원 건강매거진]삼킴곤란(연하곤란)의 원인과 증상 및 예방법은? 3 года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가톨릭중앙의료원 건강매거진]삼킴곤란(연하곤란)의 원인과 증상 및 예방법은?

삼킴곤란(연하곤란)의 원인과 증상 및 예방법은? ‘삼킴곤란’은 정확히 어떤 질환인가요? 삼킴곤란이란 구강에서 식도를 따라 위로 음식물(고형, 액체류)이 지나가는 데 있어 구조적 이상이 있거나, 운동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일컬어 말합니다. 삼킴곤란은 크게 인후부 삼킴곤란과 식도부 삼킴곤란으로 나누어집니다. ‘삼킴곤란’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인후부 삼킴곤란은 주로 삼킴의 시작에 어려움을 느끼며 주된 원인으로는 뇌졸중, 파킨슨병 등의 신경퇴행성 질환, 신경 근육 질환이 있습니다. 식도부 삼킴곤란은 삼킴 이후 목 또는 가슴 상부의 막히는 느낌을 호소하고, 식도의 기능적 이상 (광범위식도연축 등) 또는 구조적 이상 (역류성식도염, 식도암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증상은 무엇이고 의심 질환은 어떻게 되나요? 우선 인후부 삼킴곤란과 식도부 삼킴곤란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인후부 삼킴곤란을 시사하는 소견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삼킴 시작이 어려움 2 음식이 인후부에 남아있는 감각이 느껴짐 3 삼킴 시, 기침이 유발됨 4 삼킴 시, 말 어둔이 동반함 이런 증상이 있는 경우 뇌졸중, 파킨슨병 등의 신경퇴행성 질환, 신경 근육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식도부 삼킴곤란을 시사하는 소견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삼킴 이후 수초의 시간이 흐른 뒤에, 삼킴의 어려움이 느껴짐 2 식도부터 위 사이의 음식물이 막혀 있다는 감각을 느껴짐 식도부 삼킴곤란 중 고형물과 액체류 모두에서 발생하면 식도의 기능적 이상을 의심할 수 있고, 고형물에서만 나타난다면 식도의 구조적 이상을 반드시 확인해봐야 합니다 연하불능은 언제 나타나고, 실어증질병과도 관련이 있나요? 원인 질환에 따라 악화하는 기간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경퇴행성 질환은 만성경과를 보이고 뇌졸중은 급성으로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삼킴곤란 및 말 어둔이 동반되는 경우 뇌졸중 같은 뇌혈관 질환을 의심하여야 하며, 뇌 손상 부위에 따라 실어증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진단 및 검사 방법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나요? 일단, 진단적 검사 이전에 임상적 검사로 환자의 정확한 병력과 삼킴장애에 대한 자세한 증상을 먼저 알아봐야 합니다. 이후에는 이학적 검사로(시진, 촉진, 타진, 청진 등) 구강에 대한 해부학적 검사를 확인한 후, 인후부 삼킴곤란과 식도부 삼킴곤란을 감별하여 신경계 질환 또는 소화기계 질환 가능성을 고려해, 추가적인 진단적 검사법을 결정하게 됩니다. 일반적인 삼킴장애에 대한 진단적 검사법으로는 비디오 투시검사, 비디오 내시경검사, 초음파 검사, 압력계 검사 등을 시행하게 됩니다. 원인 질환이 확인된다면, 질환에 맞는 치료법을 시행하는 것이 우선이 되며, 추가로 삼킴 재활을 통하여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삼킴곤란’을 예방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삼킴곤란은 원인 질환이 다양하므로 사전에 예방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명확한 방법이 없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증상 초기에 빠르게 인지하여 내원하시어 적절한 검사 및 치료를 진행하게 되면 삼킴곤란 증상을 호전시키거나 악화를 미리 예방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감수_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신경과 이한빈 교수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