Из-за периодической блокировки нашего сайта РКН сервисами, просим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езервным адресом: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dTub.ru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ycliper.com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ClipSaver.ru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R]산불 피해 현장 자연 복원 중..인공조림정책 바꿔야 / 안동MBC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скачивания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Роботам не доступно скачивание файлов. Если вы считаете что это ошибочное сообщение - попробуйте зайти на сайт через браузер google chrome или mozilla firefox. Если сообщение не исчезает - напишите о проблеме в обратную связь. Спасибо.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2022/04/29 11:48:38 작성자 : 이도은 ◀ANC▶ 한 번 산불이 나면, 엄청난 예산을 들여 묘목을 다시 심고 인공적으로 복원작업을 하고 있는데요, 2년 전 안동에서 난 대형산불 피해 현장을 가봤더니, 놀라운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산불이 난 자리에 자연적으로 싹을 틔우고 뿌리를 내린 나무가, 인공 식재 나무 못지않게 잘 자라고 있었습니다. 산불 피해 복구 방향도 인공조림이 아닌 자연복원 위주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이도은 기자 ◀END▶ ◀END▶ 지난 2020년 4월, 강풍을 타고 나흘간 이어졌던 안동 산불. 울창하던 숲 1,944ha가 순식간에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꼭 2년이 지나, 안동산불 현장을 다시 찾았습니다. 지지대 사이로 인공조림 한 나무가 사람 키만큼 꽤 자랐습니다. 그런데 인공조림목 사이 사이로 훨씬 더 풍성한 나무가 몇 그루씩 어우러져 자라나고 있습니다. 원래 이곳에서 서식하던 싸리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같은 토종 수종입니다. [SU] "스스로 자란 싸리나무가 인공적으로 복구를 위해 심은 이팝나무와 비슷한 크기로 자라나고 있습니다. 스스로 자연의 복원력을 증명해 보이고 있는 겁니다. 안동시는 산불 피해지 복원을 위해 올봄까지 2년간 피해 면적 62%에 묘목 139만 그루를 심었습니다. 인공조림에 든 예산은 74억 원, 앞으로 이만한 예산을 더 투입해야 합니다. ◀SYN▶강성률 / 안동시 산림경영팀장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건 인공조림을 해서 추가적인 산불 피해지의 산사태 피해나 2차 피해가 발생은 안 되도록..." 수종도 문제입니다. 산림청 복구 매뉴얼에는 피해지 주변의 향토수종, 피해지의 기후조건과 입지 조건이 유사한 지역에서 산출된 묘목, 산주의 소득을 증대하는 방향의 복구가 원칙이라 돼 있습니다. 백두대간 구역인 경북 북부지역 일대에는 신갈·떡갈나무 같은 참나무류를 심어야 하지만 , 안동 산불 피해지 복구에 쓰인 수종은 대부분 산벚나무,이팝나무,자작나무 같은 경관목입니다 . 묘목은 양묘장에서 구입해서 쓰는데, 종자는 모두 산림청이 공급합니다. 그런데 산림청이 공급한 종자 중 향토 수종은 없습니다. ◀SYN▶산림청 관계자 (음성변조) "여기서(경북에서) 없다고 했으니까 앞으로는 이런 거는 좀 개선해서 저희가 독려를..." 산주들도 수종 선택에 불만이 많습니다. ◀INT▶ 백석열 / 안동 남후면 단호1리 이장(피해 산주) "저희들이 선택권이 없으니까.. 결국에는 (안동시) 산림과나 산림청에서 자기네들이 지역마다 딱 정해서.. 산주들이 이의제기를 했을 때 전혀 반영이 안 돼요." 쉽게 구할 수 있는 종자로 복원을 서두르다 보니 매뉴얼과도 맞지 않는 복원이 이뤄진 겁니다. [CG] 역대 최대 산불 피해를 기록한 지난달 울진,삼척 산불 피해 복구계획을 보면 인공조림 면적이 만 3천여ha, 피해 산림의 83%나 됩니다. ◀INT▶ 서재철 / 녹색연합 전문위원 "(불 딴 나무를) 다 베어 버리고 또 나무를 심고 그 과정에 많은 인력과 행정력, 예산 낭비... 기존 생태계도, 주민의 의견도 무시한 인공조림 복원이 행정 편의주의에 기대 무차별적으로 전국 산불 피해지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안동MBC #안동MBC뉴스 #뉴스데스크 #뉴스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