Из-за периодической блокировки нашего сайта РКН сервисами, просим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езервным адресом: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dTub.ru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ClipSaver.ru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우리는 왜 굳이 온혈(?)동물로 진화했을까?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скачивания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Роботам не доступно скачивание файлов. Если вы считаете что это ошибочное сообщение - попробуйте зайти на сайт через браузер google chrome или mozilla firefox. Если сообщение не исчезает - напишите о проблеме в обратную связь. Спасибо.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과학드림은 여러분의 소중한 후원으로 성장합니다. 멤버십 가입!▶ / @sciencedream 과학드림의 식구가 되어 주세요! :) 다른 후원 방법!▶https://toon.at/donate/sciencegive ============================================= 포유류나 조류는 몸 안에서 열을 생산해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뜻으로 ‘내온성 항온동물’이라고 부르고, 반대로 파충류처럼 외부 환경에 따라 체온이 달라지면 ‘외온성 변온동물’이라고 표현하죠.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 보면 몸에서 열을 생산해 체온을 유지하는 시스템은 정말이지 엄청나게 비효율적입니다. 단적인 예로, 체온이 10℃ 올라갈 때마다 신진대사율은 2배씩 증가하는데, 이 말인즉슨, 우리를 포함한 내온성 포유류와 새들은 체온 유지를 위해 엄청나게 먹어야 함을 뜻하죠. 그래서 평균적으로 포유류는 파충류보다 30배나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합니다. 쉽게 말해 사람이 하루에 먹는 양으로 파충류는 무려 한 달을 살아갈 수 있는 셈인데요. 이런 이유로 자연계에서는 포유류와 새(조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외온성’입니다. 즉, 내온성 항온 시스템은 어찌 보면 극히 예외적인 진화의 산물이라는 거죠. 그렇다면 이토록 비효율적으로 보이는 몸에서 열을 생산하는 방식은 왜 진화하게 된 걸까요? #체온 #항온동물 #변온동물 ============================================= [참고 자료] 『미토콘드리아』, 닉 레인 https://en.wikipedia.org/wiki/Homeoth... Willem J. Hillenius et al., (2013). "The Evolution of Endothermy in Terrestrial Vertebrates: Who? When? Why?" [사진 및 영상] 셔터스톡 외 [음악] (1)Green Rocket (2)Lazy Moves (3)Dark Acoustic western (4)Lazy Moves (5)Hey 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