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똑! 기자 꿀! 하우스] 비우고 덜어내고…여백 100% 활용법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똑! 기자 꿀! 하우스] 비우고 덜어내고…여백 100% 활용법 8 лет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똑! 기자 꿀! 하우스] 비우고 덜어내고…여백 100% 활용법

앵커 멘트 그 어느 곳보다 편하게 쉬고 싶은 쉼터가 집이죠. 멋진 가구, 소품도 좋지만 빈 곳, 여백을 살리는 인테리어를 좋아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 꿀 하우스가 그렇습니다. 일단 전체적으로 흰색입니다. 편하게는 보이는데 이렇게만 하면 단조롭고 재미없죠. 여백을 잘 활용하면 됩니다. 소재를 다르게 하면 밋밋함을 없앨 수 있고요. 그리고 힘을 줄 곳엔 이렇게 확실하게 멋을 내는 겁니다. 빈 공간이 많지만, 집이 입체적으로 보인다는데요. 여백을 돋보이게 하는 인테리어 공식, 지금 살펴봅니다. 리포트 오늘 꿀 하우스입니다. 아파트 위로 나는 비행기가 인상적이죠. 녹취 “안녕하세요.” 밝은 표정의 김민균, 안영미 씨 모자가 주인공입니다. 집이 깔끔, 그 자체인데요. 주로 흰색을 써 보기만 해도 여유가 느껴지죠. 인터뷰 안영미(경기도 김포시) : “손길이 많이 닿지 않아도 깨끗한 집이길 원했습니다.” 있는 자체로도 멋진 집, 그런 인테리어를 위해 백민욱 디자이너를 만났습니다. 수차례 회의 끝에 내린 결론은 바로 여백을 살리는 것이었습니다. 인터뷰 백민욱(인테리어 디자이너) : “여백을 잘 활용하면 넓고 밝아 보이지만 자칫 밋밋해 보일 수 있습니다. 무조건 밝은색을 쓰고 비워두는 게 아니라 여백이 돋보일 수 있도록 꾸미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거실부터 봅니다. 예전엔 툭 튀어나온 조명에, 갈색 바닥으로 어딘지 답답했는데요. 지금은 확 달라졌습니다. 전체는 흰색, 특별한 소품 없이 소파에 티브이만 뒀더니 더 환해졌습니다. 조명에도 신경을 썼습니다. 조명을 천장 안쪽으로 들어가게 설치했더니 군더더기 없이 깔끔해졌죠. 여백을 살렸지만 휑하지 않은 이유는 한쪽 벽에 있습니다. 인터뷰 백민욱(인테리어 디자이너) : “집에서 바탕이 되는 바닥과 벽의 색을 밝게 통일하되 다른 소재를 쓰면 입체적인 느낌이 납니다. 그리고 가구를 배치할 때 균형을 맞춰야 안정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그냥 비워두는 게 아니라 공식이 있다는 건데요. 벽지 대신 한쪽 벽엔 타일을 붙였습니다. 흰색에 가까운 회색의 큰 타일로 입체감은 물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냈습니다. 보이지 않는 수납장이 수납을 해결했는데, 수납장 2개, 조명 1개를 설치했습니다. 균형 있는 배치가 관건인데요. 티브이 옆 긴 수납장은 천장과 이어지도록 흰색으로 했기 때문에 기둥 같은 느낌이 납니다. 티브이장은 바닥에 놓으니까 안정감을 주는 검은색을 택했습니다. 가구와 티브이의 끝선을 맞추니까 거실 벽의 삼분의 일 정도가 여백으로 남겨졌는데요. 그냥 뒀다면 한쪽으로 기울어 보였을 텐데, 작은 화분과 펜던트 조명을 달아 균형감을 줬습니다. 안정감이 느껴지죠. 안방으로 가봅니다. 가족 공용 침실인데요. 안방 역시 여유롭습니다. 침대 하나만 놨기 때문이죠. 매트리스를 두 개 붙여 큰 침대가 됐는데요. 안정감을 위해 침대 틀은 일부러 낮게 제작하고 침대 다리는 안쪽으로 들였습니다. 살짝 떠 있는 느낌이 납니다. 대신 침대 머리 부분은 높게 만들었습니다. 벽의 반을 차지하는데요. 여기가 선반 역할을 하는 겁니다. 액자나 화분처럼 작은 소품을 올려두면 분위기가 달라지는데요. 함께 놀고 책도 보고, 안락함은 덤으로 얻은 듯합니다. 안방엔 드레스룸이 딸려 있습니다. 방 안에 문이 하나 더 있어 좁고 막힌 느낌이었는데, 문을 없애고 공간을 텄습니다. 그리고 큰 옷장과 화장대를 양쪽에 배치했습니다. 움푹 들어간 벽 폭에 맞춰 수납장을 제작해 화장대로 만들었습니다. 큰 가구인 붙박이장은 무게감을 주기 위해 검은색으로 했는데요. 칸이 여러 개로 나뉘어 있어 수납이 편리합니다. 옷장은 실용성은 물론 디자인도 신경 써야 하는데요. 요즘 유행하는 옷장을 알아봤습니다. 인터뷰 이명수(가구 전문점 운영) : “최근에는 옷뿐만 아니라 다양한 액세서리, 모자, 스카프 등도 옷장에 보관합니다. 중간에 선반을 둬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