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러시아 정교회의 신학적 문제 (최용진목사, 러시아어 통역)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러시아 정교회의 신학적 문제 (최용진목사, 러시아어 통역) 6 лет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러시아 정교회의 신학적 문제 (최용진목사, 러시아어 통역)

러시아 정교회의 신학적 문제 발췌: 한국교회의 러시아 선교와 러시아 개혁주의 전통, 2009, 남명철, 안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I. 성경과 교회관 1. 러시아 정교회는 서방교회의 교황제도를 비판하는 한편, 교계주의를 반대하는 칼빈주의/개신교에 대항하여 주교가 사도의 계승자로서 권위를 가진다고 주장한다. 2. 정교회는 성경의 유일한 최종 권위를 인정하기 보다 전통에 성경과 동일한 가치를 부여하고, 전통을 바르게 해석된 성경이라고 본다. 성경의 권위는 교회로 부터 나온다고 믿는다. 더 나아가 교회에 의해, 교회를 통해 사람들은 속죄를 받고 구원을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3. 그들은 교회의 무오성을 주장하며 교회가 오류를 범할 수 있다고 말한 칼빈을 이단으로 정죄한다. II. 성인사상과 마리아 숭배 1. 정교회는 그리스도를 유일한 중보자로 믿으면서도 기도에 있어서 성모 마리아를 비롯한 천사들, 사도들, 선지자들, 순교자들, 깨끗한 자들이 자신들의 중재가 된다고 고백한다. 2. 그들은 성인들의 성화상을 교회뿐 아니라 집과 차 안에도 두는데, 성화상을 살아 있는 성도와 죽은 성도들 사이의 만남의 장소라고 생각한다. 또한 죽은 자들과도 서로 기도해야한다고 믿는다. 3. 정교회는 마리아에게 하나님을 낳은 자, 지극히/온전히 거룩한 분으로 호칭하며 공경한다. 로마 가톨릭과는 달리 마리아가 원죄 없이 태어났다고 하는 것에는 동의하지 않지만 수태고지를 받은 순간 원죄가 씻기었다고 주장한다. 또한 마리아는 새로운 하와로서 에덴동산에서의 불복종을 상쇄했다고 믿는다. III. 성사 1. 로마 가톨릭과 같이 7성사를 실행하며 화체설을 주장한다. 그 외에도 많은 준성사들이 있다. 2. 정교회에서는 세례를 구원을 얻는 데 필요 불가결한 조건으로 여긴다. 세례 없이는 어린아이라도 그들의 죄를 사면 받는 것이 불가능하며 ‘세례’가 영원한 생명을 준다고 고백한다. IV. 신화 1. 구원의 문제와 관련하여 정교회는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얻고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것은 구원의 긴 과정에서 시작의 단계에 불과한 것이며 구원의 완성은 그리스도와 사도들, 성자들의 모범을 따라서 하나님의 성품을 닮아가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칭의와 성화를 구별하지 못함 우리는 사람이 의롭다고 칭함을 받는 것은 단순히 믿음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사랑을 통해 역사하는 믿음, 즉 믿음과 행위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믿는다. 믿음만 있으면 그리스도 안에 있는 의를 충분히 획득할 수 있다는 생각, 그리고 그 행위없는 믿음을 우리의 구원에 적용시킬 수 있다는 생각은 우리의 전통 신앙과는 너무도 거리가 먼 것이다. -도시데우스 신앙고백서, 제13조 2. 정교회의 구원론은 신화 deification, theosis, divinization로 요약되는데, 신화는 인간이 하나님의 영역으로 고양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신교에서 말하는 성화sanctification과는 다른 개념이다. 3. 정교회는 서방교회들이 구원의 교리를 지나치게 법정적 범주로 이해했다고 비판하며 이신칭의-믿음으로 말미암는 의- 교리를 거의 배제한다. V. 성화상 Icon 1. 정교회에서 성화상은 기록된 복음과 동일한 가치를 지니며, 성화상을 거부하는 것은 성육신하신 그리스도의 진정한 인간성에 의문을 품는 행위로 본다. 그들은 성화상에 대해 ‘예배’가 아닌 상대적 숭배를 바친다고 말한다. 2. 그들은 스스로 성화상 장식이 하나님의 집으로서의 러시아 정교회의 고유한 특징이며 성화상에 대한 존경과 공경은 마땅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