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맞춤 의학의 이면과 과학 저널리즘 / YTN 사이언스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맞춤 의학의 이면과 과학 저널리즘 / YTN 사이언스 10 лет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맞춤 의학의 이면과 과학 저널리즘 / YTN 사이언스

[앵커] 이번에는 미디어와 관련된 과학 소식을 살펴보고 언론의 과학보도 내용을 비평해보는 '이슈 앤 미디어' 시간입니다. 공공미디어 연구소 이경락 박사, 자리에 나와주셨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떤 내용을 준비해오셨나요? [인터뷰] 지난 시간에는 제가 맞춤 의학의 긍정적인 부분들만 집중적으로 말씀드렸는데요. 오늘은 그 반론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다른 시간에도 몇 차례 말씀드렸습니다만, 매우 객관적인 데이터를 통해 진리를 탐구하는 과학적 연구에 있어서도 '누가 돈을 지원했는가', 혹은 '이것이 의도하고 있는 다른 목적은 없는가' 등도 진실에 접근하는 중요한 열쇠가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맞춤 의학의 이면과 과학 저널리즘의 역할에 대해서 다뤄보려 합니다. [앵커] 지난 시간에 맞춤 의학이라는 것이 보편주의적 접근에 대한 반론이나 대안으로 나타났다고 하셨는데, 맞춤 의학의 이면에는 어떤 점들이 숨겨져 있나요? [인터뷰] 일반적으로 하나의 동일한 증세에 대해 단일한 처방을 내리는 보편주의적 접근은 그렇게 오래되거나 굳건한 풍토는 아닙니다. 1990년대 이래 환자들의 개별적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게 만들 수 있는 근거중심의학에 대해 임상의들이 반발하기도 했는데요. 알고 보면 서구 의학의 역사에서 보편주의적 접근은 늘 여러 종류의 다양한 개별주의적 접근들과 공존해 왔습니다. 예를 들어서 똑같은 증상의 환자들에게 동일한 약을 투여하지만, 그에 대해 반응이 다른 개별 환자가 나타나면 그 특성을 새롭게 연구하고 개별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는 것이죠, 덕분에 우리가 기존에는 알지 못했던 다양한 질병들이 발견되기도 한 것입니다. 어찌 보면, 지금 맞춤 의학이 제안하는 개별주의적 접근이 완전히 새로운 것이 아니라는 것이죠. [앵커] 그럼 어째서 최근에 맞춤 의학이 새롭게 주목받게 된 걸까요? [인터뷰] 그와 관련해서는 여러 가지 설득력 있는 답변들이 있습니다. 우선 과학기술 학자 아담 헷지코는 맞춤의학이라는 용어가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와 관련해 후원과 투자를 얻기 위한 수사적 장치, 즉 레토릭이자 비전의 일환으로 등장하고 동원된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예를 들어 인간 줄기세포를 이용한 맞춤형 치료를 통해 난치병을 정복할 수 있다는 주장은 실현하기에 매우 어려움이 크지만, 이를 통해서 후원과 투자를 받아낼 ...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www.ytnscience.co.kr/program/p...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