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친환경농업 확산에도 유기농업자재는 제자리걸음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친환경농업 확산에도 유기농업자재는 제자리걸음 4 года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친환경농업 확산에도 유기농업자재는 제자리걸음

국내 친환경농업은 확산하는 추세에 있지만, 화학비료나 농약 대신 사용하는 유기농업자재 개발은 지지부진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친환경 자재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대책이 시급하다고 조언합니다. 국내 친환경농업은 확산하는 추세지만, 친환경농산물 재배에 필요한 유기농업자재 개발은 제자리걸음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가장 큰 문제는 병해충 피해를 막아줄 방제약입니다. 매년 새로운 제품이 유기농업자재로 등록되고 있지만 약효 검증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데다, 대다수는 방제효과가 낮아 활용이 어려운 실정입니다. 실제로, 최근 제주도는 이런 문제를 고려해 지난 5월부터 친환경 감귤 재배농가를 위한 유기농자재 효과 검증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볼록총채벌레 등 감귤 해충을 막는 데 효과적인 우수 유기농자재 선발에 나선 겁니다. 현재 병해충관리용으로 공시된 유기농자재는 총 578종이지만, 방제효과가 60% 이상이어야 가능한 ‘품질인증’ 제품은 전체의 약 14%인 79종에 불과합니다. 상황이 이런 탓에 효과가 높은 특정제품을 반복 사용하다 약제저항성이 생겨 방제에 어려움을 겪거나, 비용 부담을 감수하고라도 여러 제품을 섞어서 쓰는 농가가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천연원료를 구해 방제약을 직접 만들어 쓰는 방법도 있지만, 방제효과가 낮고 제조과정이 어려운 탓에 이마저도 여의치 않습니다. 해외에서 천연농약으로 사용되는 식물자원은 900여종에 달하지만 국내에서 유기농자재로 등록된 원료식물은 50여종에 불과하다는 점도 이 같은 현실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친환경 방제약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실효성 있는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특히, 농약관리법으로 관리하는 ‘생물농약’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유기농업에 사용가능한 물질을 알려주는 기존의 목록공시제로는 고품질 방제약 개발과 확산에 한계가 있다는 겁니다. 국내 친환경농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품질 유기농업자재 개발을 앞당길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입니다. ◇ NBS한국농업방송 유튜브 구독    / nbs한국농업방송   ◇ NBS한국농업방송 홈페이지 https://www.inbs.co.kr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