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4K] 올해 바다 수온이 유독 안오르는 이유?? 궁금하신가요??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4K] 올해 바다 수온이 유독 안오르는 이유?? 궁금하신가요?? 2 месяца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4K] 올해 바다 수온이 유독 안오르는 이유?? 궁금하신가요??

추가설명 링크 -    • [4K] 물때표 보는법 !! 물때의 모든것들 초심자용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저격핸들 이벤트 저격핸들 경량핸들 - https://naver.me/G38ugaNs 저격핸들 롤링팝 - https://naver.me/FSwhBOAC 주문이 어려우신분은 저격튠 대표전화 010 7737 0472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안녕하세요 형님들 오늘은 올해 유난히 왜 수온이 늦게 오르는지 그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영상을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알아야할 내용인 봄철 해양 수온 변화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왜 매년 봄마다 바닷물 수온 변동이 달라지는지 그리고 왜 올해엔 유난히 수온이 늦게 오르는지 그 이유에 대해 천천히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바닷물 수온은 세 가지 요소에 영향을 받습니다. 첫 번째는 태양 복사 에너지. 계절이 바뀌면서 태양의 고도도 올라가고, 일조량도 점점 늘어나니까 당연히 바닷물도 따뜻해지겠죠. 두 번째는 기상 조건. 구름이 많거나, 바람이 강하거나, 비가 많이 오면 해양 표면의 에너지 균형이 달라져서 수온에도 영향을 줍니다. 세 번째는 해류의 혼합이에요. 바닷속 깊은 물과 표층수가 섞이면서 수온 분포가 바뀌게 되죠. 여기서 해류의 혼합은 서해처럼 갯벌이 많은 지역은 봄철 수온 상승에 가장 중요한 영향이기도 합니다 갯벌은 햇빛을 직접 받고, 그 열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낮에 간조 시간에 드러난 갯벌은 햇빛을 받아서 엄청 빠르게 데워지죠. 그 다음에 밀물이 들어오면, 데워진 갯벌의 열이 바닷물로 전달되면서 주변 해수의 수온을 확 올려주는 겁니다. 이건 갯벌의 숨은 능력이에요. 또한 서해처럼 수심이 얕은 지역에서는 햇빛이 바닥까지 닿기 때문에 수온 상승 속도가 훨씬 더 빠릅니다. . 여기서 또 하나 짚고 넘어가야 할 건 바로 만(Bay)입니다. 만은 육지로 둘러싸인 지형이고 대부분 기수역이라는 특징이 잘 형성되는데, 이 기수역이 바로 수온 상승에 최적화된 조건을 만들어줍니다. 봄철에는 육지가 빠르게 데워지잖아요? 그로인해 계곡도 강도 빠르게 데워지는데 이 따뜻한 민물이 바다로 흘러 들어오면, 바닷물보다 가볍고 따뜻해서 표층에 머물게 됩니다. 이게 차차 바닷물과 섞이면서 표층 수온을 훨씬 더 빠르게 올려주는 역할을 하죠. 그러니까 정리하자면, 서해처럼 갯벌과 만을 끼고 있는 지역은 민물 유입 + 갯벌의 복사열 덕분에 수온이 빨리 오르고, 그런 따뜻한 환경을 찾은 어류들이 제일 먼저 몰리는 겁니다. 산란하기에도 아주 좋은 조건이죠. 근데 많은 분들이 이런 말씀을 하세요. "비가 와서 수온이 떨어졌어. 그래서 고기가 안 물어." 사실 이건 좀 잘못된 오해예요. 수온상승에 가장 중요한 요점은 강수량이에요. 비가 오면 민물이 많이 유입되고, 이 민물은 바닷물보다 빨리 데워지거든요. 게다가 민물은 바닷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표층에 머물면서 실질적으로 비가오자마자 바다 수온이 떨어졌다고 실망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비가 오면 바다에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염도가 낮아지고, 기수역에서 흘러온 민물로 표층수온이 따뜻한 상태로 유지되고, 포화산소량도 늘어납니다. 그럼 표층에 플랑크톤 활동도 활발해지면서 전체 먹이망이 살아납니다 결국 고기 입질도 살아나게 되는 거죠. 이맘때 자주 볼 수 있는 게 바로 뉴스에도 나오는 야광 파도, 또는 야광충입니다. 밤에 보면 바다가 반짝이는 그 장면, 낚시꾼이라면 아마 자주 봤을 거예요. 많은분들이 낮에 야광충을 보면 붉게 보이기에 적조현상이다 하시는데 야광충은 사실 무해한 적조입니다. 이건 야광충의 생물농도가 높아서 그런 거고 수산 생물에 큰 피해는 주지 않아요. 낚시하시는 분들, 너무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그럼 본론으로 들어가서 올봄에는 왜 이렇게 수온이 늦게 오를까요? 바로, 올해가 윤달이 낀 해이기 때문입니다. 정말 자세한 이해는 제 이전영상 하나 링크해드릴테니 이영상보시면 될거같고 이번 영상에서는 가볍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우선 바다는 무엇보다 달의 힘이 작용하는 영향이 가장 큽니다 그래서 바다에서는 양력보다 음력이라는 달력을 주로 사용하고 음력에는 우리가 기존에 알지 못했던 비밀이 숨어져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윤달 이 윤달이 뭔지 조금 설명 드리면 우리가 사용하는 양력은 태양을 기준으로 하고, 음력은 달의 주기를 기준으로 합니다. 그런데 음력날짜를 정하는 달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약 29.5일, 12달이면 약 354일인데, 이건 태양년보다 11일 정도 짧아요. 그래서 몇 년에 한 번씩 윤달을 넣어서 이 오차를 조정하죠. 19년에 7번, 그러니까 대략 2~3년에 한 번 꼴로 윤달이 들어갑니다. 올해, 2025년은 윤달이 있는 해예요. 윤달은 7월 25일부터 8월 22일까지입니다. 그러니까 이 윤달이 들어가기 전까지는 음력과 양력 사이의 오차가 가장 큰 시기라는 거예요. 쉽게 말해서, 2025년 5월, 6월, 7월은 사실상 기존의 4월, 5월, 6월 정도로 보면 됩니다. 그만큼 차이가 잡히는 윤달이 지날때까지 수온도 평소보다 느리게 오르는 거죠. 그리고 윤달이 지나면, 달력과 계절이 맞춰지기 때문에 그때부터는 수온도 예년 수준으로 회복됩니다. 이걸 정리하자면, 윤달이 있는 해는 윤달 전까지는 한 달을 앞서서 움직이기 때문에 수온이 느리게 오르고, 윤달이 지나야 정상적인 수온 흐름을 회복한다—이 말입니다. 이건 바다가 단순히 기상이나 환경 변화만으로 수온이 변하는 게 아니라, 달의 주기, 조석, 해류 흐름 같은 월력적 요소가 큰 영향을 준다는 의미이기도 해요. 자, 여기까지 들으신 분들은 이제 아시겠죠? 이제는 단순히 양력 기준으로 출조 계획 잡고, 선사 예약하는 거 좀 다시 생각해보셔야 할 때입니다. 바다낚시에선 수온도 물론 중요하지만, 수온보다 더 중요한 건 '음력 날짜'예요. 수온은 그날의 활성도고, 진짜 중요한 건 고기가 있는 곳에서 낚시를 하는 것입니다. 오늘부터는 음력 날짜 기준으로 낚시일기 써보는 건 어떨까요? 그러면 여러분의 낚시 실력,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겁니다. 오늘 낚시 이야기, 여기까지입니다! 다음 출조 때, 음력 날짜를 함께 꼭 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깜둥아놀자 #루어낚시 #낚시 #바다낚시 #fishng #물때보는법 동출 or 질문 문의 밴드 참조 https://band.us/n/a5a408jeYa42g 협찬 광고 문의 [email protected]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00:00 영상시작 00:17 올해 수온이 늦게 오르는 이유?? 00:33 봄철 수온에 큰영향을 주는 세가지 01:09 해류의 혼합? 02:01 만?? BAY?? 02:42 정리해봅시다!! 03:05 대부분의 산란터?? 03:15 많은 사람들의 착각 03:52 봄비는 단비?? 04:20 야광파도 야광충?? 05:12 올봄 수온이 늦는 이유?? 06:13 2025년의 윤달은?? 07:01 정리해 봅시다!! 07:19 수온은 기상이나 환경이 전부가 아니예요!! 08:26 무료 PPL 시간 09:58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