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소남스님-월칭보살의 《입중론 དབུ་མ་ལ་འཇུག་པ།》 3강의 2019. 06. 01 ~ 02.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소남스님-월칭보살의 《입중론 དབུ་མ་ལ་འཇུག་པ།》 3강의 2019. 06. 01 ~ 02. 5 лет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소남스님-월칭보살의 《입중론 དབུ་མ་ལ་འཇུག་པ།》 3강의 2019. 06. 01 ~ 02.

소남스님-월칭보살의 《입중론 དབུ་མ་ལ་འཇུག་པ།》 3강의 2019. 06. 01 ~ 02. 용수보살의 (중론)에 대한 주석서 월칭보살의 《입중론》 1~5품 공부 8. 법(法)을 대상으로 한 대비심[法緣悲]와 소연없는 대비심[無緣悲]을 찬탄함 འགོ་བ་གཡོ་བའྲི་ཆུ་ཡྲི་ནང་གྲི་ཟླ་བ་ལྟར།། གཡོ་དང་རང་བཞྲིན་ཉྲིད་ཀྲིས་སོང་པར་མཐོང་བ་ཡྲི།། 眾生猶如動水月 見其搖動與性空 중생은 물에 비친 달과 같이 흔들리고 물에 비쳐진 달의 자성이 공함을 본 대비심에 예경하나이다 [해석] 중생연자비(衆生緣慈悲)는 중생을 향한 대비심 즉, 무상과 공성을 깨닫지 않고 중생을 향하는 대비심이다. 법연자비(法緣慈悲)는 무상의 법을 보는 지혜로 생긴 대비심이다. 무연자비(無緣慈悲)는 공성을 보는 지혜로 생긴 대비심이다. 사연(四緣) 물심(物․心)의 온갖 현상이 생기는 것에 대하여 그 연(緣)을 넷으로 나눈 것. 구역(舊譯)에서는 인연(因緣)․차제연(次第緣) · 연연(緣緣)․증상연(增上緣)이라 하였고, 신역(新譯)에서는 인연(因緣)․등무간연(等無間緣)․소연연(所緣緣)․증상연(增上緣)이라 하였음. 인연(因緣) 육근(六根)을 인(因), 육진(六塵)을 연(緣)이라 이름. 마치 안근(眼根)이 색진(色塵)을 대할 때 안식(眼識)이 따르고 이근(耳根)이 성진(聲塵)을 대할 때 이식(耳識)이 따름과 같음. 등무간연(等無間緣) 심(心)․심소법(心所法)이 차제(次第)로 간단(間斷)없이 상속(相續)하여 일어나는 것. 소연연(所緣緣) 마음이 작용하는 대경(對境)을 소연(所緣)이라 함. 소연(所緣)은 마음에 대하여 연(緣)이 되어서 활동(活動)을 일으키는 것. 증상연(增上緣) 육근(六根)이 경계(境界)에 비추어 식(識)을 발(發)하고 증상(增上)하는 힘이 있어서 제법(諸法)이 생(生)할 때에 장애(障礙)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이름. hetu-pratyaya (Chi., 因緣) 원인을 뜻하는 *인(因)의 같은말. 인과 연. 인은 결과를 낳게 하는 직접적 또는 내부적 원인, 연은 인을 도와 결과를 낳게 하는 간접적 또는 외부적 원인. 원인과 조건. 인은 친인(親因), 내인(內因) 등으로 불리고, 연은 소연(疎緣), 외연(外緣) 등으로 불린다. 인이 곧 연이 된다는 뜻. 넓은 의미의 인연으로서 모든 *유위법. *4연(緣)의 하나로서, 결과를 낳는 데 가장 필수적이고 일차적인 원인의 총칭. 친인연(親因緣), 정인연(正因緣). *연기(緣起)의 같은말. 다른 것에 의존하는 관계. 인과의 법칙. 인과 관계. 원인과 결과. ālamvana pratyaya 소연연(所緣緣)과 같음. 4연(緣)의 하나. 심식(心識)을 능연(能緣), 객관계(客觀界)를 소연(所緣)이라 함. 심식은 소연인 객관계를 연으로 하여 비로소 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객관계가 심식을 내게 하는 연이 된다는 뜻으로 객관계를 소연연이라 함. anatatara pratyaya 차제연(次第緣). 4연(緣)의 하나. 연속하는 인과 관계에서 단절이 없이 직후에 발생하는 결과의 원인이 되는 것. 마음의 활동에서만 원인으로 작용하는 조건으로서, 이미 발생한 결과가 곧 바로 다음 순간의 결과를 낳도록 돕는 *연(緣)이 되는 것. 연속하는 마음의 활동에서 뒤의 생각은 앞의 생각을 계승하는 동시에 그 자신도 원인이 되어 다음 생각을 일으키는데, 이 경우에 원인이 되는 것을 등무간연, 결과가 되는 것을 *증상과(增上果)라고 한다. 차제연(次第緣). adhipati pratyaya 증상연 4연(緣)의 하나. 주된 원인을 돕는 보조적인 원인. 다른 존재가 발생하는 데 간접적인 원인으로서 조력하거나 장애가 되지 않는 조건. 다른 존재의 발생을 돕는 조건은 유력(有力)의 증상연, 다른 존재의 발생을 적어도 방해하지 않는 조건은 무력(無力)의 증상연으로 불린다. 이처럼 모든 존재는 어느 하나의 존재에 대해 증상연이 된다. 사전에 나오는 4연을 정리한 것입니다. (게시 소남 스님 강의 소개) 게시 소남스님 께서는 현교, 밀교, 교법과 증법의 깊고 광대한 법문을 아래와 같이 강의를 하고 계십니다. 연기법의 지혜,티벳스님과 함께 하는 (반야심경)공부,티벳 스승들의 수행 이야기, 마음을 청정히 닦는 기도문,공덕의 근원,까담 스승 랑리 탕빠의 『마음 다스리는 여덟 가지 게송』외 삼요도 (출리심,보리심,공성의 바른견해), 팔불중도의 중관사상,사대학파(종의 보만론),논리학의 딱셀(논리),불교의 심류학,반야학,구사론,입보살행론,37보살행론,입중론,보만론, 보리도등론등 수 많은 논서와 경을 오늘도 계속해서 강의를 하시며2019.05.26 현재 까지 게시 소남스님 음성 법문집에는 법문시간:1차~410차 2,872시간를 강의하셨으며,동영상은 YouTube, Facebook에 현재 459개의 동영상 법문이 올려져 있습니다. (밴드주소band.us/@koreatibetcenter /다음카페주소http://cafe.daum.net/koreatibetcenter / 홈페이지 주소 http://www.koreatibetcenter.com/main/... 주소    / @광성사한국티벳불교사   주소 https://www.facebook.com/pg/sukkang19... /한국티벳불교사원 광성사KOREA TIBET CENTER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