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재택 임종’ 원하지만 현실은?…“임종 케어 인프라 부족” [9시 뉴스] / KBS 2025.04.02.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재택 임종’ 원하지만 현실은?…“임종 케어 인프라 부족” [9시 뉴스] / KBS 2025.04.02. 1 месяц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재택 임종’ 원하지만 현실은?…“임종 케어 인프라 부족” [9시 뉴스] / KBS 2025.04.02.

노인 인구가 빠르게 늘면서 '웰다잉', 즉,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노인들의 생각은 어떨까요? 고통 없이(85.4%), 가족과 함께(76.8%), 집에서(53.9%) 생을 마감하는 거라고 답했습니다. (2023년 노인실태조사) 하지만 현실은 크게 다릅니다. 대다수는 병원에서 고통 속에 생을 마감하는데요. 병원에서 사망하는 비율이 OECD 국가 중 1위입니다. 자택에서 임종하는 비율은 14%에 불과합니다. (건강보험공단, '2023년 장기요양 사망자의 사망 전 1년간 급여이용 실태 분석') 의사와 간호사가 집에 방문해 임종까지 챙기는 서비스가 있긴 하지만, 아직 인프라가 크게 부족한 게 현실입니다. 홍성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우효순 씨 어머니는 아흔네 살이었던 지난해, 집에서 임종을 맞았습니다. 어깨 통증 등이 심했지만 입원은 원하지 않았고 마지막은 집에서 보내고 싶다고 했습니다. [우효순/보호자 : "엄마를 사랑하는데 그 고통의 기간을 참 애매한데 늘려주고 싶진 않았어요."] 우 씨는 의료용 침대를 놓고 주변을 어머니 사진으로 꾸며 임종을 준비했습니다. [우효순/보호자 : "'용서해 달라고' 이렇게 청했더니 '너는 정말 잘했다고 또 오히려 엄마가 잘못한 거 있으면 용서해 달라고' 엄마가 저한테 주신 최고의 선물이었어요."] 어머니의 재택 임종은 재택 의료 서비스 덕분에 가능했습니다. 의사와 간호사가 방문해 통증을 줄여주고 욕창 치료도 해주는 등 '임종 케어'를 제공했습니다. 집에서 사망하면 부검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부검하지 않도록 의사 소견서도 준비해 줬습니다. [엄민정/인천평화의료복지 사회적협동조합 간호사 : "욕창 소독하는 법부터 시작해서 욕창 제품 붙이는 거, 제품 설명부터 해서 교육을 하면서 함께 나아가는 겁니다."] 재택 의료 시범 사업은 만족도가 높지만 아직 걸음마 단계입니다. 진료 수가가 낮아 참여하려는 병원이 적은 데다 임종 케어까지 제공하는 병원은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김대균/인천성모병원 권역호스피스센터 센터장 : "(생애 말기에는) 신체적인 고통뿐만이 아니라 수발의 욕구가 너무 많아지기 때문에 간병 부담을 (줄이기) 위한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임종의 장소는 의료기관일 수밖에..."] 노인장기요양보험에 임종 간호 항목을 추가해 더 많은 사람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홍성희입니다. 촬영기자:김정은/영상편집:유지영/그래픽:여현수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email protected]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임종 #고령화 #웰다잉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