Из-за периодической блокировки нашего сайта РКН сервисами, просим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езервным адресом: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dTub.ru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ClipSaver.ru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2022년 3학년 2쿼터 2차 치주역량 평가 하악전치부 치주낭 측정- 잡는 길이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скачивания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Роботам не доступно скачивание файлов. Если вы считаете что это ошибочное сообщение - попробуйте зайти на сайт через браузер google chrome или mozilla firefox. Если сообщение не исчезает - напишите о проблеме в обратную связь. Спасибо.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학생 교육 시기: 본과 3학년 1학기 2쿼터 '학생진료를위한임상역량평가' 과목 중 치주부분 역량 : 치주낭측정기를 이용한 치주낭 깊이 측정 평가과정 : 유니트체어에 마네킨을 고정시킨 후 치아모델을 장착한다. 학생은 지시문에 따라 지정된 치아의 치주낭측정을 시행하면서 말로 설명한다. Self assessment 1. 지시문을 확인한 후 먼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검사를 시행해야 할 지를 정해야 합니다. 지시문이 하악 전치부를 측정하라고 하였으므로 33번부터 31번, 41번부터 43번까지 검사를 시행할 것이라고 파악한 뒤 시행합니다. 2. 치주낭탐침을 치주낭 내부에 삽입한 후, 자연스러운 walking technique motion 과 자연스러운 up and down motion 을 얻기 위해서는 변형펜파지법으로 파지를 할 때 힘을 빼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엄지와 검지가 너무 terminal shank 부분을 지지하는 중지에 가깝게 파지하지 않도록 길게 기구를 잡아야 합니다. 교수님께서 지도해주신 후 실제로 walking technique 를 시행해본 결과, 훨씬 더 부드럽게, 치면에 기구의 working 를 계속해서 밀착시키면서도 어색함 없이 부드러운 진행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3. 원심이나 근심 인접면의 치주낭깊이를 측정할 경우 앞서 시행한 조원들의 유투브 영상을 참고하여 5-10 도 정도만 기울여 삽입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가장 좋은 방법은 기구가 치면에 붙으면서 경사지도록 하여 경사지는 정도가 최소한이 될 수 있도록 합니다. 4. 전치부 검사를 할 경우 견치부는 치경을 활용하여 retraction을 진행하였으나, 중절치와 측절치의 경우 치은 연조직을 압박하지 않으면서 치경으로 retraction을 진행하는 것이 어려웠습니다. 하악 전치의 경우 치경없이 retraction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중절치와 측절치의 경우 보조 손의 엄지로 retraction을 진행하는 것도 매우 좋은 방법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5. 치은연하치석제거술 시험에 비해 변형펜파지법을 잡는 것이 익숙해지긴 하였으나 여전히 힘이 들어간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히 엄지와 검지에 과도한 힘이 들어갈 경우, 손가락에 힘이 풀릴 때마다 기구의 tip 이 치면에서 떨어질 수 있으므로, 기구에 과도한 힘을 주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6. 기구를 삽입할 때 probe를 치면에 밀착시켜 삽입해야 합니다. 과도하게 순측으로 기울어져 치주낭을 벌려서는 안되며, 반대로 기울어져서도 안됩니다. 그러나 치아의 외형에 따라 최대풍융부를 고려해야 할 경우, 이를 고려해 적당량만 각도를 주어 치면에서 기구의 끝이 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7. 저의 경우 전치부를 진행했었으나, 다른 학우의 경우 소구치부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때 후방구치가 없을 경우에는 원심인접면을 탐침할 시 치주낭탐침을 기울이지 않아도 된다고 하셨습니다. 8. Pocket depth 를 작성하는 chart 에 치은퇴축량 등은 어떻게 기입하는지 질문드린 결과, 실재 chart 에는 Pocket depth 외에도 mobility, gingival recession 등을 기록할 수 있는 칸이 있다고 하셨습니다. 개인적으로 찾아본 결과 BOP 의 경우 Pocket depth 의 색을 붉은 색으로 표시하거나, 병원에서는 숫자 아래에 밑줄을 표시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