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2018.05.01 [뉴스G] 다른 듯 비슷한 북한의 교육제도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2018.05.01 [뉴스G] 다른 듯 비슷한 북한의 교육제도 6 лет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2018.05.01 [뉴스G] 다른 듯 비슷한 북한의 교육제도

http://home.ebs.co.kr/ebsnews/menu2/n... 다가오는 토요일은 어린이 날인데요, 우리나라가 5월 5일을 어린이날로 기념하는 것과 달리 북한은 6월 1일 국제아동절을 '어린이 날'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학교는 3월에 개학하는 우리와 달리 4월 1일에 학기가 시작됩니다. 우리나라와 다른 북한의 교육제도에 대해서는 국제기구의 보고서와 탈북이탈주민의 경험, 두 가지 방향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00년대 들어 UNESCO, UNICEF 등 국제기구들이 북한과 교육협력․지원사업을 전개하면서 북한의 교육제도에 대한 보고서를 몇 차례 발표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학제는 유치원 2년, 소학교 4년, 중학교 6년, 대학교 3~6년 체제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고등학교가 없고 초등교육이 4년이라는 것이 우리나라와 다른 점입니다. 의무 교육기간인 유치원 높은 반 1년부터 중학교 졸업까지 11년이 걸립니다. 모든 교육기관은 국가가 설치하고 운영하며 사립교육기관은 존재하지 않죠. 북한에서 '교육'은 해방 이후 북한 사회를 지탱해온 중요한 기반 중의 하나인데요. 김정은 위원장이 집권한 이후 교육정책에 상당한 변화를 보였습니다. 교육 목적을 '세계적 수준의 과학기술 인재 양성'으로 정하고,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적 투자', '교육의 현대화', '중등교육 수준 향상', '대학교육 강화' 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국제기구의 보고서들은 북한 주민들의 일반적인 교육 수준이 상당히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요. 탈북이탈주민들이 말하는 현실은 조금 다릅니다. 사립교육기관은 존재하지 않지만 입시과목인 수학, 과학, 외국어 등에서는 사교육이 확산되고 있고, 학군도 형성되고 있다고 합니다. 대학진학과 미래를 동일시하는 모습이 우리와 비슷해 오히려 낯설게 느껴집니다. 남북 정상회담 이후 북한 사회에 대해 제대로 알아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죠. 북한 사회의 틀인 교육 현황을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