Из-за периодической блокировки нашего сайта РКН сервисами, просим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езервным адресом: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dTub.ru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ClipSaver.ru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상하이컨테이너 운임지수 시각화 차트 (2009 - 2022년)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скачивания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Роботам не доступно скачивание файлов. Если вы считаете что это ошибочное сообщение - попробуйте зайти на сайт через браузер google chrome или mozilla firefox. Если сообщение не исчезает - напишите о проблеме в обратную связь. Спасибо.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한국어 버전을 보고싶으시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 [그래프로 보는] SCFI 그래프 변화 (2009년~2022년) 동영상 자료 추가 설명 : 각 막대그래프는 2009년부터 2022년2월까지의 항로별 SCFI지수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아래는 각 항로를 설명합니다. ① Northen Europe : 유럽 항로 운임 변동값. ② Mediterranean : 지중해 항로 운임 변동값. ③ West USA : 미국 서부 해안 항로 운임 변동값. ④ EAST USA : 미국 동부 해안 항로 운임 변동값. ⑤ Mid_Est_Asia : 페르시아만(중동) 항로 운임 변동값. ⑥ Australia : 호주/뉴질랜드 항로 운임 변동값. ⑦ West_Africa : 서부 아프리카 항로 운임 변동값. ⑧ South_Africa : 남 아프리카 항로 운임 변동값. ⑨ South_America : 남미 항로 운임 변동값. ⑩ West_Japan: 일본 서해안 항로 운임 변동값. ⑪ East_Japan: 일본 동해안 항로 운임 변동값. ⑫ South_East_Asia : 동남아시아 항로 운임 변동값. ⑬ Rep of Korea : 한국 (부산)항로 운임 변동값. ----동영상 자료 제작 Tool 리스트. ---- 1) 데이터 시각화: 타입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 2) 데이터 정형화: EXCEL(파워 쿼리, 파워 BI), 왜도, 첨도, 사분위수 제외법. 3) 차트 제작 : HTML, CSS. SCFI(Shanghai Container Freight Index_상하이 컨테이너 프레이트 인덱스) : 지구상 무역량이 가장 많은 중국 상하이 항구를 기준으로 전세계의 운임비 변동량을 가늠할수 있는 지표. 주식으로 따지면 코스피 혹은 코스닥 지수, 미국으로 따지면 S&P 500 지수, 다우존스지수, 나스닥 지수와 같이 전체 시황을 알아볼수 있는 지수입니다. 무역업무를 하다보면 운임료에 민감해집니다. 무역 업무 신입 사원 시절, 포워더가 운임비용을 청구하면 의심 없이 운임을 입금해주었습니다. 하지만 지난 코로나 19 사태로 선적 스페이스가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물류비가 급상승하게 되었습니다. 그후 저는 운임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운송비용이 어떤 근거로 산출되는지 알아보기 시작했습니다. 기본적으로 전세계 운임비용을 상하이 컨테이너 프레이트 인덱스를 기준으로 산출됩니다. 상하이 컨테이너 프레이트 인덱스가 커버하는 항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운송 경로 (출발지는 상하이) ① 유럽 항로. ② 지중해 항로. ③ 미국 서부 해안 항로. ④ 미국 동부 해안 항로. ⑤ 페르시아만(중동) 항로. ⑥ 호주/뉴질랜드 항로. ⑦ 서부 아프리카 항로. ⑧ 남 아프리카 항로. ⑨ 남미 항로. ⑩ 일본 서해안 항로. ⑪ 일본 동해안 항로. ⑫ 동남아시아 항로. ⑬ 한국 (부산)항로. 위와 같이 다양한 항로를 커버하므로, 전세계 운임시장의 기준으로 하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운임 지수를 시각화하여 얻어진 Insight를 활용하면, 운임비 예측 및 감소에 도움이 될것이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