Из-за периодической блокировки нашего сайта РКН сервисами, просим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езервным адресом: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dTub.ru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ClipSaver.ru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줌인 부동산] "강북 집값 계속 오른다"…몰리는 투자수요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скачивания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Роботам не доступно скачивание файлов. Если вы считаете что это ошибочное сообщение - попробуйте зайти на сайт через браузер google chrome или mozilla firefox. Если сообщение не исчезает - напишите о проблеме в обратную связь. Спасибо.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앵커] 12·16 종합 부동산대책 이후 9억 이하 아파트 시장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 모습입니다. 상대적으로 대출규제가 덜한 만큼 수요자들의 눈길이 쏠리는 모습인데요. 대책이 발표된 지 3주가 지났죠. 서울에서 9억 이하 아파트가 많은 강북지역 아파트값이 오르는 분위긴데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춘란 오비스트 본부장, 부동산팀 정창신기자 나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춘란 본부장·정창신기자] 네. 안녕하세요. [앵커] 우선 얘기 나눠보기에 앞서 부동산팀 이아라기자가 강북구 상황을 알아봤는데요. 준비한 레포트 보고 이어가겠습니다. 불붙는 강북 아파트값…열흘새 4,500만원 상승 [서울경제TV=이아라기자] 서울 강북구 미아동 두산위브트레지움 아파트. 최근 이 단지 전용 84㎡가 6억9,500만원에 매물로 나왔습니다. 국토부 실거래가에 따르면 이 단지 같은 평형은 지난달 6억5,000만원에 거래됐습니다. 열흘 새 4,500만원 뛴 겁니다. 강북구 다른 아파트들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번동에 있는 기산그린 아파트는 지난달 24일 전용 59㎡가 2억9,450만원에 거래됐는데, 현재 호가는 3억3,000만원까지 올랐습니다. 12·16대책 발표 이후 전반적인 서울 집값 상승세는 주춤하고 있지만, 일부 지역 집값은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는 겁니다. 강남4구,서초·강남·송파·강동나 마용성,마포·용산·성동 등 고가 아파트가 많은 지역의 집값 상승폭은 축소됐지만, 시가 9억원 이하의 아파트가 모여 있는 지역들은 상승폭이 커졌습니다. 난 4일 한국감정원의 지난해 12월 다섯째 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영등포구는 전 주 0.13%에서 0.19%로, 강북구는 0.08%에서 0.09%로, 동대문구는 0.06%에서 0.07% 등으로 상승폭이 확대됐습니다. 관악구 0.15%, 은평구 0.06%, 서대문구 0.04% 등은 상승폭을 유지했습니다. 상대적으로 집값이 저렴했던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폭이 두드러지는 겁니다. [싱크] 권일 /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9억 이하 주택에 대한 대출 부담이 적다 보니 투자자들이 관심을 갖고 있고요. 특히 전세를 끼게 되면 소액투자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문가들은 12·16대책이 9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의 대출에 제동을 건 만큼, 9억원 이하 단지에서 키맞추기 현상이 계속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아라입니다. /[email protected] [앵커] 네. 잘봤습니다. 먼저 이춘란 본부장님. 저희 방송에 오랜만에 나오셨어요. 잘 지내셨죠? [이춘란 본부장] 네. 바쁘게 지내고 있습니다. 12·16대책에는 강남권에서 가장 부담되는 종합부동산세 강화내용이 들어 있고, 작년 보유세로 충격 받으신 분들이 많습니다. 9억 이하 부동산을 매수하는 움직임은 12·16 발표일부터 움직였다고 보여집니다. 대책 발표 후에 시장 변화가 궁금한 분들이 많은 분위기입니다. [앵커] 그렇군요. 오늘은 강북지역을 알아볼 텐데요. 그동안 강남에 비해 소외돼 있었잖아요. 그런데 12·16대책 발표 이후에 강북에 관심이 많아졌어요. 투자 수요도 그렇고, 실수요도 그렇고. 조금전 이아라기자의 레포트도 봤는데요. 강북에 쏟아지는 관심 왜 그렇다고 보시나요? [이춘란 본부장] 2015년이후 가격차이는 있으나 서울 전체 부동산시장이 시차를 두고 계속 번갈아 움직였다고 보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강북 부동산이 강남부동산과 비교하여 가격과 선호도가 낮은 것은 사실이나 지하철역노선이 더 확장되고 동북권 역세권개발과 동북선, 재개발지역 아파트의 가격상승. 서북권의 재발견으로 은평구를 최근에는 금평구로 부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응암1·2재개발 마무리, 대조1구역 지축 신도시까지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종로구, 중구 등 업무지역 인근으로 주택수요는 계속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앵커] 네. 잘 들었습니다. 지금까지 12·16대책 이후 강북 부동산 시장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출연해 주신 이춘란 오비스트 본부장님, 정창신기자 감사합니다. [이춘란 본부장·정창신기자] 네. 감사합니다. /[email protected] 홈페이지 : http://www.sentv.co.kr/ 네이버TV : https://tv.naver.com/sen ★SEN서울경제TV 유튜브 채널 핫클립 : https://bit.ly/2FsQnHw VOD : https://bit.ly/2RPZiZ9 쎈 이코노미 : https://bit.ly/2EmOAC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