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2016년 11월 28일 전자신문, 기내에서도 초고속 인터넷 즐긴다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2016년 11월 28일 전자신문, 기내에서도 초고속 인터넷 즐긴다 8 лет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2016년 11월 28일 전자신문, 기내에서도 초고속 인터넷 즐긴다

올해부터 대륙과 대륙을 넘나드는 장거리 국제선 항공기 내에서도 초당 수십 메가비트 수준의 초고속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인말샛이 초고속 인터넷용 정지궤도위성 시스템 `글로벌 익스프레스(GX)`를 구축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2G나 3G 속도였다면 4G LTE급으로 무선 통신 속도가 빨라지는 셈이다. 하늘 위 통신은 지상과 달리 기지국이 아닌 위성이 담당한다. 위성통신은 고도 3만6000㎞ 정지 궤도에 떠 있는 인공위성과 전용 안테나가 주고받는 방식이다. 위성통신에 주로 쓰이는 전파 대역은 `L밴드(1∼2㎓)` `Ku밴드(12∼18㎓)` `Ka밴드(26.5∼40㎓)`다. 인말샛 GX는 Ka밴드를 이용한다. 투과력이 낮지만 속도가 빠르고 전송 용량이 크기 때문이다. 항공기는 물론 해상 선박, 군부대, 원유 시추선 등 적용 분야가 다양하다. 위성통신 안테나는 대부분 동체나 꼬리에 달린다. 공기 저항을 받지 않도록 최대한 납작하게 설계한다. 최대 통신 속도는 동체용 안테나는 다운로드 50Mb와 업로드 4.7Mb, 꼬리용 안테나는 다운로드 33Mb 및 업로드 2.2Mb다. 지상에서 쓰는 것과 비슷하다. 지금까지 항공용 안테나는 저속 데이터, 음성 통화, 문자 서비스를 이용하는 L밴드나 ATG(Air-To-Ground) 시스템을 썼다. ATG는 위성 대신 지상 송·수신 안테나를 이용한다. 항공기 운항 경로를 따라 지상 기지국과 통신, 기내에서 와이파이를 쓰는 방식이다. 대부분 기체 바닥에 안테나를 설치한다. 속도는 초당 1~10MB로 느린 편이다. 기지국 영역을 벗어나면 통신이 끊어지기 때문에 대양을 건너는 국제선에는 적용할 수 없다. 말링크의 자료를 보면 북미와 아시아·태평양 지역 일부 외에는 AT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10년이 지나도 마찬가지다. 반면에 위성통신은 대부분 대륙이나 해양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Ku밴드는 지난해 말 세계 주요 항로에 통신망을 구축했다. 나머지 통신 방식도 2025년이면 가능하다. 리오 먼데일 인말샛 에이비에이션 사장은 “휴대폰에서 경험할 수 있는 4세대 이동통신과 비슷한 수준”이라면서 “지상에서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이 공중에서도 작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슈분석]기내에서도 초고속 인터넷 즐긴다 유창선 성장기업부(구로/성수/인천) 기자 [email protecte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