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AI가 농촌 일손부족 해결 열쇠…농업기계 발전방향 정책토론회 개최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AI가 농촌 일손부족 해결 열쇠…농업기계 발전방향 정책토론회 개최 3 года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AI가 농촌 일손부족 해결 열쇠…농업기계 발전방향 정책토론회 개최

◀ 리포트 ▶ 26일 전남 국제농업박람회에서 인공지능 자율주행 농업기계 발전방향 정책토론이 개최됐습니다. 서울대 BK21사업단과, 농축산기계신문이 주최한 이번 토론회는, 지속가능한 국내 농업과 미래 농기계산업의 발전을 위해 마련됐습니다. 무엇보다 주제발표에서 여러 대안이 제시됐는데, 서대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데이터 기반 정밀농업의 수용성과 체계 구축방안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 서대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생산성 향상이라든지 가치창출, 기후변화 대응 지속 가능 농업, 그다음에 농업 범위 확대 이러한 부분에서는 지금까지 먹거리 생산으로만 가는 농업을 벗어나서 헬스케어라든지 좀 더 BT라든지 이런 부분에 접목할 수 있는 농업이 되어야 된다…그렇게 되려면 데이터 기반의 농업으로 가지 않으면 여러 가지로 준비가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김학진 서울대 BK21 사업단 단장은 디지털농업과 자율주행 농기계 기술의 국내외 동향과 발전과제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 김학진 / 서울대 BK21 사업단 단장 정부가 디지털농업을 위한 구조를 구축했고, 그런데 중요한 부분은 산업화는 기업이 하고 있고 기업이 이 부분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고, 그랬을 때 젊은 농부들이 봤을 때는 이 솔루션 기술로 종결되는 부분을 굉장히 빨리 선택할 것이다 이거죠. 또한 패널들의 토론도 진행됐는데, 지능형 농기계에 관한 활용성 증빙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국내 기술 개발에 관한 이야기도 들어볼 수 있었습니다. ▶ 한태호 /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농기계검정팀장 우려되는 사항들이 있습니다. 사실 과연 이 디지털 지능형 농기계를 활용을 했을 때 얼마나 내가 농업인 입장에서 이득을 볼 수 있을까. 얼마나 효과를 볼 수 있을까. 이런 것들이 사실은 국내에는 입증이 증빙된 것들이 공개적인 데이터로 공개된 것들이 많이 부족하다. ▶ 강금춘 / 농촌진흥청 스마트팜개발과장 원천기술은 개발이 되어 있는데 실행하는 것은 안되는 이것도 딜레마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희 농업부에서는 작년에 4대 기업 농기계 업체와 첨단농기계 MOU를 체결한 다음에 첨단농기계 연구 협의체를 구성했었습니다. 급변하는 농업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된 정책 토론회. 참여자들은 다양한 의견들을 공유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며 디지털농업에 대한 발전을 다짐했습니다. AI타임스 나호정입니다. #국제농업박람회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