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제19강 클뤼니(Cluny) 수도원 이후_허성준 신부의 수도 전통에 따른 렉시오 디비나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제19강 클뤼니(Cluny) 수도원 이후_허성준 신부의 수도 전통에 따른 렉시오 디비나 5 лет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제19강 클뤼니(Cluny) 수도원 이후_허성준 신부의 수도 전통에 따른 렉시오 디비나

허성준 신부의 수도 전통에 따른 렉시오 디비나 제19강 클뤼니(Cluny) 수도원 이후 클뤼니(Cluny) 수도원 카리스마적인 인물이었던 아니아네의 베네딕도에 의해 착수된 쇄신운동은 그가 죽자 곧바로 중단되었다. 그러나 그가 추진했던 쇄신 운동은 10세기 클뤼니 수도원에 의해서 다시 부활하게 되었다. 클뤼니 수도원은 특별히 베네딕도 규칙서의 엄격한 준수와 순명, 엄격한 금욕, 전례에 대해 강조하면서 규모가 큰 수도원 제국으로 매우 급속히 성장하였다. 사실 그 수도원은 초기에 베르노(Abbot Berno, 909-927), 성 오도(St. Odo, 927-944), 성 마욜로(St. Mayeul, 954-994), 성 오딜로(St. Odilo, 994-1048), 그리고 성 후고(St. Hugh, 1049-1109)와 같은 성덕과 분별력이 뛰어난 위대한 아빠스들의 지도하에 있었기에, 약 200년 간 교회 개혁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칠 수 있었다. 비록 클뤼니 수도원에서도 이렇게 렉시오 디비나를 인정하긴 했지만, 옛날보다는 그 중요성이 많이 감소하였고, 더욱이 렉시오 디비나의 대상은 더욱 더 많아져서 성경주석서, 신학 서적, 교부들의 문헌, 그리고 심지어 백과사전도 포함하게 되었다. 특별히 클뤼니는 또한 육체노동을 소홀히 하고 전례를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수도 생활의 세 축인 기도, 일, 그리고 렉시오 디비나의 균형을 잃게 되었다. 그들은 너무 제도화된 생활과 거대한 조직을 갖고 있었으며, 더욱이 수도 생활의 관상적인 측면들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로 인해서 아이러니컬하게도 10세기에 교회 쇄신의 상징이었던 클뤼니 수도원은 불과 한 세기 후인 11세기 말에는 오히려 부의 상징이 되어 교회 쇄신의 대상이 되고 말았다. 클뤼니(Cluny) 수도원 이후 그 후 11-12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수도 전통 안에서는 다시 본래의 수도 생활에로 되돌아가려는 분위기가 강하게 형성되어 새로운 수도회들이 계속 탄생하게 된다. 그 대표적인 수도회들이 가말돌리회, 카르투시안회, 시토회이다. 1) 시토회(The Cistercian Order) 가난과 단순성을 특별히 강조하는 시토회는 1098년에 몰렘 수도원의 로베르투스(Robertus) 아빠스가 RB를 더 엄격하게 지키고자 세운 수도회 끌레르보의 성 베르나르두스 (St. Bernardus Clairvaux) 역시 성경에 대한 연구보다는 오히려 그 말씀 안에 자신을 온전히 내어 맡길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면서, 성경에 대한 렉시오 디비나를 하느님을 만나는데 있어 확실한 안내자로 보았다. 2) 카르투시오회(The Carthusian Order) 1084년에 브루노 성인(St. Bruno, 1032-1101)은 고대 은수 생활의 이상을 추구하며 오직 고독과 침묵 속에서 하느님만을 추구하고자 카르투시오회를 설립하였다. 그 회의 제9대 원장이었던 귀고 2세(Guigo II, +1188)는 『수도승들의 사다리』(The Ladder of Monks)라는 책에서, 수도자들이 하느님과의 높은 일치를 향해 올라가야 할 영적 단계로서 독서(lectio)-묵상(meditatio)-기도(oratio)-관상(contemplatio)을 아주 체계적으로 언급하였다. 1993년에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과 새 교회법에 따라 로마 교황청으로부터 인준 받은 새로운 카르투시오회의 헌장에서는, “수도승은 성경이 자신의 일부분이 될 때까지 끊임없이 그것을 묵상해야 한다”라고 말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제3권 21장). 특별히 카르투시오회는 수도회 역사 안에서 한 번도 개혁되지 않은 엄격한 수도승 공동체이다. ▶ 진 행 | 허성준 가브리엘 신부 (성 베네딕도회 왜관 수도원) 1992 종신서원 1993 사제서품 1993 대구 가톨릭대학교 영성신학 석사 2000 미국 미네소타주 성 요한 대학교 수도승 신학 (Monastic Studies) 수학 미국 뉴멕시코주 성 베네딕도회 사막수도원 (The Monastery of Christ in the Desert) 침묵 수련 부산 '분도 명상의 집' 책임신부 역임 대구 파티마 분원(포교 성 베네딕도 수녀회) 지도신 부, 파티마 병원 원목신부 역임 ¶ 저서 '수도전통에 따른 렉시오 디비나' (2003) '사막에서 길을 묻다' (2007) '수도전통에 따른 렉시오 디비나II' (2011) ¶ 역서 '구심기도' (2003) #렉시오디비나 #허성준신부 #수도전통 #성독 #가톨릭평화방송 #cpbc #허성준가브리엘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