Из-за периодической блокировки нашего сайта РКН сервисами, просим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езервным адресом: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dTub.ru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ycliper.com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ClipSaver.ru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형용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67개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скачивания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Роботам не доступно скачивание файлов. Если вы считаете что это ошибочное сообщение - попробуйте зайти на сайт через браузер google chrome или mozilla firefox. Если сообщение не исчезает - напишите о проблеме в обратную связь. Спасибо.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형용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형용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67개] 1) 人鬼相半(인귀상반):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2) 不夜城(불야성):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3) 瓊枝玉葉(경지옥엽): (1)옥으로 된 가지와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2)귀한 자손을 이르는 말. 4) 夜以繼晝(야이계주): 어떤 일에 몰두하여 조금도 쉴 사이 없이 밤낮을 가리지 아니함. 5) 銀鱗玉尺(은린옥척): (1)모양이 좋고 큰 물고기. (2)‘물고기’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6) 三尺秋水(삼척추수): 날이 시퍼렇게 선 긴 칼. 7) 面折廷爭(면절정쟁): (1)임금의 면전에서 허물을 기탄없이 직간하고 쟁론함. (2)때와 곳을 가리지 않고 다툼. 8) 朱脣皓齒(주순호치): 붉은 입술과 하얀 치아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자를 이르는 말. 9) 兎走烏飛(토주오비): 토끼가 달리고 까마귀가 난다는 뜻으로, 달의 상징인 토끼와 해의 상징인 까마귀가 달리고 나는 듯이 세월이 빠르게 지나감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10) 落紙雲煙(낙지운연): 종이에 떨어뜨리면 구름이나 연기 같다는 뜻으로, 글씨를 쓰는 데 초서(草書)의 필세(筆勢)가 아름답고 교묘하며 웅혼(雄渾)한 모양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11) 鶴髮童顔(학발동안): 머리털은 하얗게 세었으나 얼굴은 아이와 같다는 뜻으로, 전설 따위에 나오는 신선의 얼굴을 이르는 말. 12) 刻露淸秀(각로청수): 나뭇잎이 지고 산 모습이 드러나 맑고 빼어나다는 뜻으로, 가을의 경치가 맑고 수려해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13) 咳唾成珠(해타성주): 기침과 침이 다 구슬이 된다는 뜻으로, 권세가(權勢家)를 형용하거나 일언일구(一言一句)가 다 귀중하다는 의미로 사용됨. 혹은 시문(詩文)의 재주가 뛰어남을 형용하기도 함. 〔= 月章星句(월장성구)〕. 14) 氷肌玉骨(빙기옥골): (1)살결이 맑고 깨끗한 미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매화의 곱고 깨끗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5) 輕塵棲弱草(경진서약초): 미진(微塵)이 연약(軟弱)한 풀잎에서 쉰다는 뜻으로, 덧없음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16) 月白風淸(월백풍청): 달은 빛나고 바람은 맑다는 뜻으로, 달 밝은 가을밤을 이르는 말. 17) 海棠睡未足(해당수미족): 해당화가 아직 잠이 부족하다는 뜻으로, 갓 깨어난 미인이 아직 잠에 취한 듯 하늘하늘 가냘프게 보이는 모양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18) 三尺童子(삼척동자): (1)키가 석 자 정도밖에 되지 않는 어린아이. 철없는 어린아이를 이른다. (2)무식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9) 內潤外朗(내윤외랑): 옥(玉)의 광택(光澤)이 안에 함축(含蓄)된 것(內潤)과 밖으로 나타난 것(外朗)이라는 뜻으로, 인물(人物)의 재덕(才德)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20) 蜂房水渦(봉방수와): 벌의 집과 물의 소용돌이라는 뜻으로, 건물(建物)이 꽉 들어차 있는 모양(模樣)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21) 電光石火(전광석화): 번갯불이나 부싯돌의 불이 번쩍거리는 것과 같이 매우 짧은 시간이나 매우 재빠른 움직임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2) 運斤成風(운근성풍): 도끼를 움직여 바람을 일으킨다는 뜻으로, 아주 교묘한 장인(匠人)의 최고 경지의 솜씨를 형용하는 말. 23) 明眸皓齒(명모호치): 맑은 눈동자와 흰 이라는 뜻으로, 미인(美人)의 모습을 이르는 말. 24) 孤城落日(고성낙일): 외딴 성과 서산에 지는 해라는 뜻으로, 세력이 다하고 남의 도움이 없는 매우 외로운 처지를 이르는 말. 25) 明窓淨机(명창정궤): 햇빛이 잘 비치는 창밑에 놓여 있는 깨끗한 책상(冊床)이라는 뜻으로, 말끔히 정돈(整頓)된 서재의 모습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26) 無窮無盡(무궁무진): 끝이 없고 다함이 없음. 27) 滿身瘡痍(만신창이): 온몸이 상처라는 뜻으로, 전신(全身)이 상처투성이라는 의미. 28) 正大高明(정대고명) 29) 千金一笑(천금일소) 30) 一顧傾城(일고경성) 31) 鳳麟芝蘭(봉린지란) 32) 石破天驚(석파천경) 33) 火樹銀花(화수은화) 34) 荊棘銅駝(형극동타) 35) 落湯螃蟹(낙탕방해) 36) 雪膚花容(설부화용) 37) 阿鼻叫喚(아비규환) 38) 飛沙走石(비사주석) 39) 隻輪不返(척륜불반) 40) 蕙心紈質(혜심환질) 41) 輕裘肥馬(경구비마) 42) 上雨傍風(상우방풍) 43) 老病有孤舟(노병유고주) 44) 呱呱之聲(고고지성) 45) 母猿斷腸(모원단장) 46) 怒髮上衝冠(노발상충관) 47) 仙姿玉質(선자옥질) 48) 八字春山(팔자춘산) 49) 紅粉靑蛾(홍분청아) 50) 囚首喪面(수수상면) 51) 炊骨易子(취골역자) 52) 煙塵千里(연진천리) 53) 靑天霹靂(청천벽력) 54) 魚頭鬼面(어두귀면) 55) 月露風雲(월로풍운) 56) 無分別智(무분별지) 57) 疾風迅雷(질풍신뢰) 58) 游雲驚龍(유운경룡) 59) 虛靈不昧(허령불매) 60) 蜂起(봉기) 61) 魚潰鳥散(어궤조산) 62) 沈魚落雁(침어낙안) 63) 斗折蛇行(두절사행) 64) 萬壑千峰(만학천봉) 65) 長蛇陣(장사진) 66) 揚沙走石(양사주석): 모래가 날리고 돌멩이가 구른다는 뜻으로, 바람이 세차게 붊을 이르는 말. 67) 千紫萬紅(천자만홍): 울긋불긋한 여러 가지 꽃의 빛깔. 또는 그런 빛깔의 꽃.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형용에-관한-한자-한자성어-...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