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숫자의 함정…20대는 떠나는 “청년도시” 세종 / KBS 2024.01.24.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숫자의 함정…20대는 떠나는 “청년도시” 세종 / KBS 2024.01.24. 4 месяца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숫자의 함정…20대는 떠나는 “청년도시” 세종 / KBS 2024.01.24.

[리포트] 세종의 한 대학에서 경영학, 통계학을 전공한 예비 졸업생 김희주 씨. 수시로 교내 일자리 센터를 찾아가며 IT 계열 취업을 준비해왔습니다. 하지만 원하는 자리도, 정보도 부족하자 최근엔 아예 거주지를 서울로 옮겼습니다. [김희주/세종 소재 대학 재학생 : "취업 자리, 채용 정보, 이런 걸 이야기해 주실 때 사실 세종에서 뭔가 취업 자리를 제안을 해 주신다거나 이런 게 되게 많이 없었던…."] 세종에 있는 대학은 3곳, 재학생 2만 천여 명 중 매년 2,800명가량이 졸업합니다. 이들 가운데 세종에 취업하는 비율은 5.9%, 신생도시라곤 하지만 최소 20에서 60% 달하는 다른 지역과 차이가 큽니다. 급등한 가격에다, 중·대형 위주 주택도 청년들에겐 진입 장벽입니다. 세종시 아파트의 평균 실거래가는 4억 후반대로 서울에 이어 전국 두 번째로 높습니다. [김용민/대학원생/20대 : "집값이 좀 비싸다는 얘기도 많이 듣고, 1인 가구가 살 만한 공간이 많지는 않다고 생각이 들어서 (세종에 사는 것이) 조금 어렵겠다라는 생각은 했습니다."] '청년'이 부족한 '청년 도시. 인구피라미드에 그대로 드러납니다. 유독 20대 인구만 쏙 들어가면서 마치 '모레 시계'를 닮았습니다. 마름모꼴인 다른 시·도 인구분포와 확연히 구분됩니다. 전체 인구의 70%가 거주하는 세종 신도심에 예식장 한 곳 없다는 점도 청년 부족 현상을 증명합니다. 도시 성장의 선순환 고리가 끊어질 수 있단 우려가 나오는 이윱니다. [최성은/대전세종 연구위원/행정학 박사 : "일자리와 주거 환경의 비용, 안전 시설에 대한 지원 그리고 청년 문화의 거점 지역 조성 또 그리고 교육 부분에 대한 정책 우선순위를 높여나갈 필요가 있겠습니다."] 수도권 인구 분산과 균형발전을 목표로 출범한 세종시, 목적지로 잘 가고 있는지 중간 점검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박병준입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