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신라 진흥왕(재위 540~576년) 순수비가 세워진 서울 종로구 구기동 북한산 비봉능선 탐방_2023. 6. 22.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신라 진흥왕(재위 540~576년) 순수비가 세워진 서울 종로구 구기동 북한산 비봉능선 탐방_2023. 6. 22. 1 год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신라 진흥왕(재위 540~576년) 순수비가 세워진 서울 종로구 구기동 북한산 비봉능선 탐방_2023. 6. 22.

종로구 구기동 이북5도청옆 비봉탐방지원센터를 출발, 비봉과 사모바위, 승가봉, 청수동암문과 715봉을 지나 나한봉 오르기 전에 있는 성랑지까지 이 영상에 담겨있고, 나한봉 이후 의상능선 산행영상은 "의상능선 탐방_2023. 6. 22." 영상에 별도로 제작되어 있음. 신라 진흥왕은 540년부터 576년까지 재위, 백제의 한강유역을 영토로 편입한 뒤 지접 방문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순수비를 이곳 비봉 정상부분 바위에 설치했다. 이 곳에는 비석이 있던 자리와 비석을 꽂았던 홈이 있는데, 비석이 세워진 곳이라고 하여 북한산 비봉(碑峰)의 이름이 생겨났다. 비석을 세운 이래 1,200여년 동안 잊혀 오다가 19세기 전반에 추사 김정희가 비문을 판독하여 진흥왕 순수비임을 확인하였다. 비문에는 진흥왕이 북한산을 둘러보고 돌아오는 길에 지나온 여러 고을에 세금을 면제해 주고, 죄수들을 석방하도록 했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그 후 비석이 마모되어 글자를 알아보기 어렵게 되고, 비석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기도 하자 1972년에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서 보존하고 있다. 순수비 자리에는 비석의 복제품을 만들어 원래의 자리에 설치해 놓았다.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는 광개토왕비와 함께 삼국시대 역사 연구에 귀중한 금석문으로서 국보 제3호로 지정되어 있다. 의상능선 탐방_2023. 6. 22.    • 북한산의 속살을 깊숙이 볼 수 있는 의상능선 탐방_2023. 6. 2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