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디젤 시동문제 진단하는 법(예열플러그, 퓨즈, 릴레이, 배터리)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디젤 시동문제 진단하는 법(예열플러그, 퓨즈, 릴레이, 배터리) 6 лет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디젤 시동문제 진단하는 법(예열플러그, 퓨즈, 릴레이, 배터리)

뉴스포티지 2005년식 WGT 2.0 영상 비공개로 업로드해서 테스트를 좀 하고 예약 해놓으려다...실수로 올렸는데, 그냥 올리겠습니다. 원래 이번 주 금요일에 올라갈 예정이었던 영상입니다. 추가적인 설명 영상 순서가 뒤죽박죽이라고 느끼실 수도 있는데, 제 나름대로는 가장 먼저 해볼 만한 것부터 순서대로 배치한 것입니다. 릴레이를 떼서, 멀티미터 연결하고, 9V 배터리로 갖다 대서 확인하는 방법도 있지만 고생을 사서 하는 방법입니다. 키 온에 놓고, 그냥 내려서 릴레이에 손 갖다 대고, 십여 초가 지난 시점에서 '탁'하는 소리만 나도 고장 여부 진단은 가능합니다. 예열플러그 저항측정을 통해서, 예열플러그가 다 정상이라는 걸 확인했고, 또 퓨즈도 멀쩡한 걸 확인했다면, 배터리 전압 측정을 통해 릴레이 정상작동하는지 바로 확인할 수도 있고요. 그리고 예열플러그 저항 측정 시, 0.7옴 언저리로 나오는 게 보통 정상입니다. 낮으면 무조건 정상이 아닙니다. 배터리 전압 12볼트는 거의 항상 정해진 값인데, 저항이 너무 높으면 예열플러그 전류값이 너무 낮아서 사실상 작동 안하는 거나 마찬가지이고, 저항이 너무 낮으면 예열플러그에 과전류가 흘러서 스파크가 팍팍 튀길 겁니다. 제가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점검은, 일단 그냥 배터리에 멀티미터 물려서 키 온 시에 전압이 떨어지는지 확인하고, 전압이 안 떨어진다 그러면 퓨즈부터 확인하고, 퓨즈 이상없다 그러면 릴레이도 소리나는지 여부로 간단하게 상태 확인하고, 예열플러그 저항측정에 들어갑니다. 이때 하나라도 이상있으면 그냥 전체 교환을 추천드리고요. 다 이상없는데 전압이 안 들어가면, 예열플러그 플러스배선이 마이너스 쪽에 닿아있다든지, 배선에 문제가 생긴 겁니다. 확실하게 떨어뜨려놓고, 통전테스트를 통해서 어느 부분이 단선 되었는지 찾아가야합니다. 배터리 전압 측정 같은 경우, 멀티미터의 임피던스 값인가 그런 걸로 인해서 순간 전압 측정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멀티미터 자체가 최저전압을 메모리하는 기능이 있다면, 아마도 정확히 측정 가능하겠죠. 보통 싸구려 멀티미터로 전압측정한 값보다 0.3볼트 정도, 실제로 더 떨어졌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수온센서와 예열된 상태에서도 16초 예열플러그 작동한다는 것에 대해 혹시라도 이해 못하시는 분을 위해 말씀드리자면, 겨울철 추울 때는 수온게이지가 중간에 올라온 상태라도, 그래도 키 온을 넣어서 예열플러그를 작동시켜주면 배터리에 부담을 최소화해서 시동을 걸 수 있다는 거고, 수온센서의 데이터값을 바탕으로 ECU가 예열플러그 작동을 제어하기 때문에, 수온센서 고장 시 예열플러그 작동이 잘 안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개당 6,000원인가 해서 저는 그냥 교체해버렸습니다. 구품이 너무 더러워서.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