Из-за периодической блокировки нашего сайта РКН сервисами, просим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езервным адресом: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dTub.ru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ClipSaver.ru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슈나이더 일렉트릭 컨테이너 모듈형 데이터센터 시청자 Q&A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скачивания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Роботам не доступно скачивание файлов. Если вы считаете что это ошибочное сообщение - попробуйте зайти на сайт через браузер google chrome или mozilla firefox. Если сообщение не исчезает - напишите о проблеме в обратную связь. Спасибо.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제목 슈나이더 일렉트릭 컨테이너 모듈형 데이터센터 시청자 Q&A 일시 2015년 7월 15일 제공 토크 아이티 http://Talkit.tv 게스트 김상현 매니저, Schneider Electric [email protected] 호스트 지식 큐레이터 고우성PD, IT지식방송 Talk IT 운영 [email protected] PUE 가 낮을수록 좋은 것인데 반하여 본 제품을 도입하면 그 도입 비용 대비 손익 분기점은 어느 정도에서 상쇄 기점이 될까요? 데이터센터에 UPS급이 아니라 소형이라도 자체 발전소가 있는 건 어떤가요? PUE지수를 낮추는 기법은 어떤 것이 있나요? 컨테이너 1식을 발주하고 나서 국내에 들여오는 기간이 얼마나 되고 아시아권역에서 만드는 건지 유럽쪽인지 궁금합니다. 컨테이너형 데이터센터 도입시에 기존 공조장치들도 같이 활용을 할 수 있을까요? 또는 현재 구축되어 있어서 협조 후에 견학할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데이터센터 확장의 어려움 중 하나가 언제 서버에 투자하고, 그 규모는 얼마나 되야 하는지를 이해하는 것인데 이따금씩 수욧 폭증이 일어나는 것은 확실하지만, 언제 그것이 일어날지를 예측하고 여분이 없는 상황에서 이런 일이 발생할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요? 콘테이너 타입의 경우, 일반 건물형에 비해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은 아닌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시스템의 크기가 표준화 되어 있지 않아 컨테이너 타입은 상면 활용 효율성이 오히려 떨어지지 않을까 싶은데요. 막상 도입하면 빈 공간이 엄청나게 많아서 속상하지 않을까요? 컨테이너도 ISO국제 규격이 있는데 이게 일반적으로 저희가 아는 규격인가요? 아니면 데이터센터용 컨테이너 규격인가요? 컨테이너식 모듈형으로 데이터센터 구축시 DR구축과 테스트시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봅니다. 다만, 실제 내구성에 있어 측정 가능한 방안과 국내 사례가 있으면 알려 주세요. Container형 모듈이 Huawei등 다른 경쟁업체 대비 장점을 무엇인가요? 모듈 크기가 커서 건물 내에 들어오기 힘들 것 같은데 기존 data center내에 모듈을 어떤 식으로 설치를 하는지요. 컨테이너형 데이터센터를 임대 형식으로 도입할 수 있는 프로모션이 있으신가요? 서버실 이전 및 시급한 사항에서 임대해서 활용할 수 있는 방향도 좋을 것 같습니다. 발전 시설과 쿨링시설에 대한 유지보수도 함께 제공하시는가요? 소규모 데이터센터를 가진 여러 회사가 있다면 이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컨테이너에 통합할 수 있는 중개업 서비스도 가능할런지요? 컨테이너방식 모듈러 데이터센터 도입시, 증설을 위한 병렬 구성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입니까? 1.컨테이너 데이터센터가 들어가는 건물의 조건이 별도로 정해져 있는지요? 어떤 건물이든 가능한 건 아닌 것 같은데요. 2. 기존 데이터센터가 노후화로 인하여 컨테이너 형식으로 리모델링을 해야한다면 어떤 부분의 비용이 가장 많이 들어갈 것이라고 예상하시는지요? 컨테이너 내의 항온항습기 방식은 수냉식,공냉식 모두 가능한가요? 수냉시의 경우 chiller의 설치 구성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컨테이너가 열을 더 많이 받는데요. 여름 같은 계절에 태양열에 의해서 뜨거워져서 냉방에 많은 전기가 필요하지는 않나요? IT를 토크하자, 토크 아이티! http://www.talkit.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