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종묘 단장하고, 왕과 왕비 신주 다시 모시네 [이제는 국가유산]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종묘 단장하고, 왕과 왕비 신주 다시 모시네 [이제는 국가유산] 5 часов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종묘 단장하고, 왕과 왕비 신주 다시 모시네 [이제는 국가유산]

종묘 단장하고, 왕과 왕비 신주 다시 모시네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사극을 보면 “전하~ 종묘사직을 굽어살펴 주소서!”라는 대사가 있죠. 종묘는 토지와 곡식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사직단과 함께 조선왕조에서 가장 중요시한 제례 공간이라 극적인 순간에 자주 등장하는 것 같습니다. 종묘는 조선왕조의 왕과 왕비, 그리고 죽은 후 왕으로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시는 사당입니다. 종묘에는 본래의 건물인 정전과 별도의 사당인 영녕전을 비롯하여 여러 부속건물이 있습니다. 태조 3년(1394)에 한양으로 도읍을 옮기면서 짓기 시작하여 그 이듬해에 완성되었습니다. 태조는 4대(목조, 익조, 도조, 환조)의 추존왕을 정전에 모셨으나, 세종 때 정종이 승하하자 모셔둘 신실이 없어 세종 3년(1421) 영녕전을 세워 4대 추존왕의 신위를 옮겨 모셨습니다. 그러다 정전과 영녕전은 1592년 임진왜란 때 불에 타 1608년에 다시 지었습니다. 정전은 몇 차례의 증축을 통해 현재 19칸의 건물이 되었고, 19분의 왕과 30분의 왕비를 모시고 있습니다. 단일 목조 건축물 중 규모가 크나, 장식적이지 않고 유교의 검소함이 깃든 건축물입니다. 국보인 ‘종묘 정전’은 종묘의 중심 건물로 영녕전과 구분하여 태묘(太廟)라 부르기도 합니다. 긴 정면과 수평선이 강조된 건물 모습은 세계에 유례가 없는 독특한 건축물로, 귀중한 자료가 담긴 국가유산입니다. 종묘의 정전과 영녕전 주변 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고, 종묘제례와 음악·춤의 원형 또한 잘 계승되어 종묘는 1995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은 2001년에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그동안에는 종묘 정전이 보수 중이라, 창덕궁 옛 선원전에서 신주를 임시로 봉안하고 있습니다. 다른 곳에 모셨던 신주를 다시 제자리로 모시는 것을 환안(還安)이라 하는데요. 종묘 정전이 새 단장을 끝내 임시 봉안했던 49위 신주의 환안이 시작됩니다. 4월 20일에는 155년 만에 환안제가 재현됩니다! ✅종묘 정전과 조선왕실의 전통 제례가 만나는 가장 한국적인 순간! 국가유산청은 155년 만에 이루어지는 이번 환안제를 통해 5년간의 보수를 거쳐 다시 돌아온 종묘 정전의 역사적 가치를 국내외에 확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환안제 관련 영상 보러가기 ➡️   • 종묘 정전 환안제 및 준공기념식 행사에 초대합니다! (사전신청 마감...   궁능유적본부 홈페이지 '환안제' 내용 보러가기 ➡️https://royal.khs.go.kr/ROYAL/content... 영상출처: 고궁박물관    • 종묘 정전   #국가유산청 #국가유산 #문화유산 #무형유산 #자연유산 #종묘 #궁 #조선 #환안제 #종묘대제 #Korea #heritage #service #goverment #official #KHS #korean #ancient #archaeology 국가유산청 유튜브 -    / @khs_pr   국가유산청 블로그 - http://blog.naver.com/chagov 국가유산청 인스타그램 -   / chlove_u   국가유산청 페이스북 - http://facebok.com/chloveu 국가유산청 X(트위터) -   / chlove_u   국가유산청 홈페이지 - http://www.khs.go.kr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