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노후 준비 못한 세대…경기도 노인가구 60% 최저임금 이하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노후 준비 못한 세대…경기도 노인가구 60% 최저임금 이하 4 недели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노후 준비 못한 세대…경기도 노인가구 60% 최저임금 이하

#경기뉴스 #btv뉴스 #SK브로드밴드 [앵커멘트] 경기도 조사 결과, 도내 65세 이상 노인 가구에 60%가 월 200만 원, 최저임금 이하의 소득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노후 준비를 했다고 언급한 사람들 중에서도 상당 수가 실제 월 소득은 최저임금 이하인 것으로 조사됐는데요. 경기지역 노인가구의 노후준비 상황. 박희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지난해 2023년 기준 경기도의 전체 인구는 1천 363만 1천 명입니다. 이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12만 3천 명으로 도 전체 인구의 15.6%를 차지합니다. 2019년에는 노인 비율이 12.5%였는데 불과 4년 사이 3% 포인트 넘게 증가했습니다. 이렇게 고령화 사회, 초고령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는 경기도. 그렇다면 노후 준비는 얼마나 하고 있을까요? 도내 노인 중 66.7%가 노후 준비가 됐다고 응답했습니다. 노후 준비 방법으로는 국민연금과 예·적금 저축성 보험, 부동산 운용 순으로 답변이 나왔는데요. 반대로 노후 준비를 하지 않은 비중은 전체 노인의 33.3%를 차지했습니다. 결코 작지 않은 비중이죠. 그 이유를 물었더니 "준비할 능력이 부족해서"라는 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그리고 자녀에 의존할 계획이라는 답변도 35%를 차지했습니다. 지금 경기지역의 고령층 생활 형편은 어떨까요? 도내 노인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0만 원 미만이 30.5%, 100~200만 원 미만이 27.3%로 무려 절반이 넘는 57.8%가 200만 원 미만 소득 구간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 200만 원 미만 구간이 중요한 포인트인데요. 현재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따져보겠습니다. 시급 9,860원을 월급으로 환산하면 예상 월급은 약 200만 원이 조금 넘게 나옵니다. 그렇다면 도내 노인 가구의 60% 가까이가 최저임금에 미치지 못하는 소득 수준을 보이고 있다고 볼 수 있고, 30% 소득은 최저임금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여기서 주목할 부분이 있는데요. 노후 준비를 하지 않았다고 답한 33%, 그리고 월 평균 소득 100만 원 미만 30%, 비중으로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겁니다. 도내 노인 가운데 30%는 월 소득이 100만 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데다 노후 준비조차 되어 있지 않다고 유추할 수 있는 것이죠. 가구 월 소득이 얼마 정도면 노후 준비가 됐다고 볼 수 있을까요? 도민들의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 [김영애(71세) / 경기도 용인시] "우리는 어려운 세대를 살았으니까 100만 원이면 그냥 식생활은 하지 않을까... 아주 저렴한거죠." [조용섭(68세) / 경기도 수원시] "최하 그래도 170만 원, 200만 원은 가져야 될 것 같은데... 모든 물가가 밥 한 그릇 먹어도 보통 1만원 대 넘게 줘야 되는데..." [안성열(68세) / 경기도 수원시] "국민연금 받고 의료보험비 한 40만 원 나오는데 국민연금 받은 것 있잖아요. 그것 다 거기로 내야 돼요. 그리고 보험 같은 것 한 50만 원 나가지... 300만 원은 있어야지 생활하죠. 나 혼자만이 아니고 부인이 있는데..." 상황에 따라 노후 소득에 대한 만족 기준은 천차만별인 것 같습니다. 가난한 노인이 많은 경기도, 사실 전국적으로 따져봐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나라들 가운데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이 가장 높은데요. 이런 상황 속에서 우리나라는 2025년, 바로 내년부터는 인구 5분의 1이 65살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합니다. 2018년 고령사회가 된 뒤 불과 7년 밖에 안 걸리는 건데요. 영국은 50년, 미국은 15년 걸렸는데, 이에 비하면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옆 나라 일본보다도 빠릅니다. 너무 당연한 얘기지만 누구나 살다보면 노인이 되겠죠. 노인을 위한 나라를 어떻게 만들까? 가장 먼저 내 가족과 이웃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해 사회적차원의 공감대를 이끌어내는 것, 우리 사회가 당면한 가장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B tv 뉴스 박희붕입니다. [그래픽 김봄이 / 촬영 박동현] #수원시_화성시_오산시_용인시_이천시_안성시_평택시_안산시_시흥시_광명시_안양시_군포시_의왕시_과천시 #뉴스 #노인 #노인인구 #노인가구 #고령화 #고령화사회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