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усские видео

Сейчас в тренде

Иностранные видео


Скачать с ютуб 한국에선 26%, 베트남에선 46%…수출주도형 기업들 '이중고' [MBN 뉴스7]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한국에선 26%, 베트남에선 46%…수출주도형 기업들 '이중고' [MBN 뉴스7] 7 дней назад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한국에선 26%, 베트남에선 46%…수출주도형 기업들 '이중고' [MBN 뉴스7]

【 앵커멘트 】 당장 수출로 먹고사는 우리 기업들이 초비상입니다. 이들 대부분 베트남과 중국 현지에도 생산 공장을 두고 있는데요. 이 나라들은 한국보다 더 높은 관세가 부과돼 기업들의 이중고가 예상됩니다. 민지숙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인천의 한 수상레저용품 제조업체입니다. 전체 생산량의 70%를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습니다. 26% 관세도 부담이지만, 인건비 부담을 낮추기 위해 베트남에 지은 공장들이 더 걱정입니다. 베트남 공장에서 만든 물건을 미국으로 수출하면 46% 관세를 물기 때문입니다. 당장 거래처들은 17배로 늘어난 세금을 분담하자고 압박하기 시작했습니다. ▶ 인터뷰 : 이희재 / 인천 수출업체 대표 "바이어와 협상을 통해서 반반씩 부담한다고 해도 저희가 한 46억 정도의 회사의 손해 내지는 영향이 있다. 좀 공황 상태입니다." 정부가 장려해 해외에 공장을 건설한 이른바 수출주도형 기업들이 이중고를 겪게 된 셈입니다. ▶ 스탠딩 : 민지숙 / 기자 "이곳 인천 기업 10곳 중 7곳은 이번 관세 폭탄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응답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베트남을 생산 거점으로 삼는 삼성전자 스마트폰과 LG 가전 등 대기업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다만, 기존에 관세를 부과받았던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등에는 상호관세가 적용되지 않아 '이중관세' 부담은 덜게 됐습니다. ▶ 인터뷰(☎) : 한아름 / 대한무역협회 수석연구원 "예정된 조치들이 많은데 거기에 이제 플러스가 될까 봐 우려했던 건데 최악의 시나리오까지는 가지 않은 걸로 보이고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조치가 수정될 수 있다며 여지를 남긴 만큼, 기업들은 앞으로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협상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MBN뉴스 민지숙입니다. 영상취재: 배병민 기자 영상편집: 이동민 그래픽: 최민지 ☞ MBN 유튜브 구독하기 ☞ https://goo.gl/6ZsJGT 📢 MBN 유튜브 커뮤니티 https://www.youtube.com/user/mbn/comm... MBN 페이스북   / mbntv   MBN 인스타그램   / mbn_news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