Из-за периодической блокировки нашего сайта РКН сервисами, просим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езервным адресом: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dTub.ru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ycliper.com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ClipSaver.ru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충북 단양군 단성면 벌천리 마을풍경 - 20250514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скачивания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Роботам не доступно скачивание файлов. Если вы считаете что это ошибочное сообщение - попробуйте зайти на сайт через браузер google chrome или mozilla firefox. Если сообщение не исчезает - напишите о проблеме в обратную связь. Спасибо.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벌천리 마을풍경이다. 단양천을 경계로 경북 문경시 동로면 명전리 마을과 맞닿아 있는 도경계가 이색적인 마을이다. 지형적 특성으로는 단양군 단성면에 행정구역이 속해있어야 자연스러운 모습이지만 황장산을 넘거나 벌재를 넘어야 명전리를 갈 수 있다. 그렇게된 연유야 알 수 없지만 21세기에 도경계가 어떤 의미가 있을까 생각해 보면 호기심 천국에 나올 소재같은 벌천리와 명전리 행정구역이다. 단성면 벌천리는 월악산국립공원 도락산을 품고있고, 용두산 아래 골짜기에는 산안마을이 이색적인 풍광을 보여준다. 연혁 1912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궁기동과 산안을 병합하여 봉화면(鳳化面)에 편입되었다. 1917년 봉화면(鳳化面)이 단양면(丹陽面)으로 개명됨에 따라 단양면 관할이었다. 1979년 단양면(丹陽面)의 읍(邑)승격으로 단양읍(丹陽邑)에 편입되었다. 1985년 충주(忠州)댐 완공으로 읍소재지가 이전함에 따라 구단양출장소 소속이 되었다가 1992년 단성면(丹城面) 승격으로 단성면(丹城面) 관할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특성 본래 단양군 서면(西面) 지역으로 냇물 셋이 벌어져 있으므로 벌내 또는 벌천(伐川)이라 하였다. 내(川) 셋이 벌어져 있어 벌내 또는 벌천(伐川)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궁기동(宮基洞)과 산안(山安)을 병합하여 현재는 4개의 자연부락을 가지고 있는데 각각 본부락, 모녀티, 산안, 궁기동이다. 본부락 뒷산이 용두산인데 선암계곡을 사이에 두고 도락산과 쌍벽을 이루는 명산이다. 산안은 용두산 높은 곳에 올라앉아 있고, 모녀티는 용두산 발치 쑥 들어간 곳에 있는데 모두가 세상과 동떨어진 별천지 형국이다. 궁기동을 궁텃골이라고도 하는데 도락산 아랫녘에 위치하며 공민왕의 피난 전설을 간직하고 있다. 단양 8경인 선암계곡이 시작되는 곳 산천 및 지명유래 굴밖골 : 안산안 마을에 있는 골짜기. 궁기동재 : 안궁텃골에서 대강면 방곡리로 넘어가는 고개. 높이 563m. 궁텃골 : 궁기동에서 안궁텃골로 가는 골짜기. 멍기재 : 모녀재. 모녀티. 독기재. 덕산면 도기리로 넘어가는 고개. 모래재 : 벌천에서 가산리 상선암으로 가는 고개. 모래가 많음. 벌뫼 : 벌내 뒤쪽에 있는 산. 높이 648m. 범박골 : 범바우가 있는 골짜기. 북박골 : 모여티 마을에 있는 골짜기. 마을 자랑비 붉은등 : 벌내에서 산안으로 가는 고개. 사작치(四作峙) : 벌천에서 수산면 대전리로 넘어가는 고개. 새작골 : 모여티 마을에 있는 골짜기. 용두산(龍頭山) : 벌천·회산·양당 사이에 있는 산. 높이 998m. 산의 모양이 용의 머리처럼 생겼다 함. 일명 장군대(將軍臺). 정대산골 : 산안에서 용두산으로 가는 골짜기. 중미산 : 벌천리에 있는 산 이름. 높이 663m. 창밖골 : 안산안에 있는 골짜기. 궁기동(宮基洞) : 궁텃골. 벌천 동남쪽에 있는 마을. 옛날에 어느 왕이 잠시 들렀다 하고 또는 무사들이 궁술(弓術)을 연마하던 곳이라고 함. 내궁기동 : 궁텃골 안쪽에 있는 마을. 안궁텃골. 내산안 : 산안(山安) 안쪽에 있는 마을. 독여티 : 모녀재 아래에 있는 마을. 머너티, 모녀티, 멍어티. 바깥산안 : 산안 바깥쪽에 있는 마을. 외산안(外山安). 벌내 : 벌천(伐川). 경북 문경시 동로면(東魯面) 명전리(鳴田里)와 냇물 하나를 경계로 하고 있다. 산안(山安) : 벌천(伐川) 서북쪽에 있는 마을. 안말 : 안산안. 산안 안쪽에 있는 마을. 웃말 : 안말 위쪽에 있는 마을. 외궁기 : 궁텃골 입구에 있는 마을. 바깥궁텃골. 조산밖들 : 모여티 마을 입구에 있는 들판. 가마바우 : 가마 같이 생긴 바위. 구영소 : 모래재 동북쪽에 있는 소. 노적바위 : 궁텃골에 있는 바위. 곡식을 쌓아 높은 노적 같이 생겼다. 농바우 : 농같이 생긴 바위. 범바우 : 호랑이가 입을 벌리고 있는 모양의 바위. 사모바우 : 궁텃골에 있는 사모 같이 생긴 바위. 용바우소 : 벌천(伐川)리에 있는 소. 옆에 용 모양의 바위가 머리가 잘린 채 남아 있음. 족두리 바위 : 궁텃골에 있는 바위. 족두리 같이 생겼다 함. 궁기교(宮基橋) : 궁텃골 입구에 있는 다리. 벌천교(伐川橋) : 벌천 입구에 있는 다리. 산안(山安)으로 가는 갈림길이다. 문운해 묘(文雲海墓) : 본관은 남평(南平). 안의첨사(安義僉使) 원흠의 아들. 1780년생으로 관은 통덕랑(通德郞)을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