Из-за периодической блокировки нашего сайта РКН сервисами, просим воспользоваться резервным адресом: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dTub.ru Загрузить через ClipSaver.ruУ нас вы можете посмотреть бесплатно "한글 익히고 함께 뛰고"…인재 꿈 키우는 캐나다 한인 캠프 [글로벌 NOW] / YTN korean или скачать в максимальном доступном качестве, которое было загружено на ютуб. Для скачивания выберите вариант из формы ниже:
Роботам не доступно скачивание файлов. Если вы считаете что это ошибочное сообщение - попробуйте зайти на сайт через браузер google chrome или mozilla firefox. Если сообщение не исчезает - напишите о проблеме в обратную связь. Спасибо.
Если кнопки скачивания не
загрузились
НАЖМИТЕ ЗДЕСЬ или обновите страницу
Если возникают проблемы со скачиванием, пожалуйста напишите в поддержку по адресу внизу
страницы.
Спасибо за использование сервиса savevideohd.ru
캐나다 동포 사회는 해마다 차세대 한인들의 정체성 함양을 위해 한국 문화를 배우는 여름 캠프를 열고 있습니다. 올해는 한글과 세종대왕을 주제로 한 교육과 즐거운 야외 활동이 진행됐는데요. 함께 배우고 교류하며 동포 사회 주역이 될 인재의 꿈을 키우는 현장을 이은경 리포터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가나다라마바사' 누가 만든 줄 알아?) "세종대왕." (그렇지! 바로 그거야) 고사리손에 연필을 꼭 쥐고 한 자 한 자 집중해 한글을 적어봅니다. 봉사자 선생님의 격려에 힘입어, 한글과 함께 한국을 상징하는 그림들로 종이 갓등을 장식합니다. [한리오 / 9세 : 가나다라마바사로 했고 한국 깃발 색깔로 했고요, 한국 축구선수 손흥민을 그렸어요.] [오시온 / 10세 : ㄱ, ㄴ, ㄷ이랑 한글들 다 있고요. 이쪽에는 한국 태극기, 그리고 내 이름이에요.] 한인 비영리 단체 'C3'가 동포 어린이들에게 한인 정체성을 심어주기 위해 2006년 시작한 '캠프 코리아'. 교외 야영장에서 캠프를 열어 전래동화와 삼국시대 등 매년 다른 주제로 한국 문화와 역사를 배우고 운동과 바비큐 요리 등 레저 활동도 함께합니다. 올해 주제는 '한글과 세종대왕'. 고등학생과 성인 봉사자들이 한인 초등학생과 중학생 약 50명을 대상으로 나흘간 한글의 탄생과 창제 원리 등을 가르쳤습니다. [김성은 / 캠프 봉사자 : 놀랍게도 한글을 아직 한 번도 안 했더라고요. 2006년부터 한 캠프인데도. 그런데 한글이 사실 한국인이나 문화면에서 되게 기본적인 요소잖아요.] 공부를 마친 뒤엔 제법 열띤 분위기 속에 딱지치기 대결이 이어지고 암벽 등반, 산악자전거 등 야외 활동도 즐깁니다. 실컷 땀 흘리고 함께 먹는 빙수는 더욱 꿀맛. 동포 요리 연구가가 직접 유기농 팥으로 앙금을 쒀 정성껏 준비했습니다. [우애경 / 요리연구가 : 이 음식을 먹은 아이들이 매년 자라서 봉사도 하고, 상담도 하고, 리더도 하고, 굉장히 뿌듯해요.] 한인 정체성 확립은 물론, 다양한 야외 활동을 통해 체력과 정신력도 기를 수 있어 '한 번 가면 매년 참여하게 된다'는 말이 있을 정도. 어린 시절 참가했던 캠프의 즐거운 추억을 동생들에게도 선물하기 위해 봉사자로 돌아온 한인 청년들. 방학과 여름 휴가도 기꺼이 반납한 채 교구를 준비하고 야영장을 사전 답사하며 6주가량이나 캠프를 꼼꼼히 준비했습니다. [박건우/ 캠프 봉사자 : 애들을 도와주면서 애들이 저한테 고맙다고 그렇게 말하는 게 뿌듯하고 좋았습니다.] [엘리 안 / 캠프 봉사자 : 어떤 참가자들은 한국 사람 아니에요. 그래서 한국말 모르죠. 그래서 그냥 한글 가르쳐 줬어요. 재미있었어요. 애들이 좋아하니까 재미있었어요.] 동포 학부모에게도, 자녀들이 한국 문화를 배우고 다양한 연령대 한인들과 어울릴 수 있는 소중한 기회입니다. [이수은 / 캐나다 버나비 : 학교를 다니기 시작하니까 집에서도 한국말을 안 써요. 그런데 문화나 배경은 사라지지 않잖아요. 그래서 캠프를 통해서 유대감을 많이 다질 수 있는 기회인 것 같아요.] [김지호 / 캐나다 랭리 : 이 안에서 서로 커가면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어느덧 20년 가까이 역사를 쌓아온 캠프 코리아. 미래 동포 사회 발전의 기둥이자 현지 주류사회에서도 활약하는 차세대 한인 인재 양성을 위한 노력을 더욱 활발히 이어나갈 계획입니다. [이형걸 / 한인 비영리 단체 C3 회장 : 한국계 캐나다인으로서 자기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시기의 어린이, 청소년들이라서 성인 봉사자들을 보면서 좋은 영향을 받을 거라고 생각이 되고요.] [스티브 김 / 캐나다 코퀴틀럼 시의원·전 C3 회장 : 지난 20년을 돌아보면 정치인은 물론 의사, 변호사, 회계사들을 길러냈습니다. 봉사자들이 한인 사회에 기여해서 미래 리더가 되길 바랍니다. 차세대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캐나다 밴쿠버에서 YTN 월드 이은경입니다. #캐나다 #밴쿠버 #한인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replay/view.php... ▣ YTN korean 유튜브 채널구독: https://goo.gl/gcKeTs ▶ 모바일 다시보기 : https://m.ytn.co.kr/replay/replay_lis... ▶ Facebook : / ytnworld ▶ Naver TV : https://tv.naver.com/ytnkorean [전세계 750만 코리안 네트워크 / YTN korean]